16일까지 집계···국유림·사유림은 피해 조사 중
심리 치료·동물 의료 지원 등 피해 복구에 집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남 산청·하동 산불의 피해 신고액이 7일 기준 116억 4400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피해 신고액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 경남도는 피해집계와 함께 피해 긴급복구에 나섰다.
7일 경남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피해 신고액은 사유시설 103억 9800여만 원, 공공시설 12억 4600여만 원 등 을 기록 중이다. 산불 피해를 당했다는 신고가 계속 들어오고, 산림·사찰 피해액이 아직 집계되지 않은 상태라서 전체 피해액은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858㏊으로 집계된 국유림·사유림의 피해 규모는 조사 중이어서 피해액에서 제외됐다. 도는 산청 산불 피해 신고를 16일까지 받아서 최종 집계할 예정이다.
비닐하우스 14곳, 농산물 저장창고 24곳, 과수재배시설 15곳 등 농업시설 66곳이 산불 피해로 집계됐다. 농기계 20대도 불에 탔고 딸기 11.7㏊, 버섯 5.6㏊, 사과 1.8㏊ 등 농작물 피해는 36㏊이다. 은행 278㏊, 떫은감 85㏊, 밤 86㏊, 고사리 53㏊, 두릅 31㏊ 등 20여 종의 산림작물 617㏊가 소실됐다.
도는 피해 복구도 서두르고 있다. 우선 재난안전특별교부세 43억 원, 특별조정교부금 40억 원 등 83억 원을 확보해 지난달 산불 피해를 본 산청군 32억 원, 하동군 23억 원, 창녕군 15억 원, 김해시 13억 원씩 긴급지원한다. 잔해물 철거·처리, 안전조처, 이재민 구호, 임시주거시설 운영, 공공시설 복구, 산불 예방·진화 장비 구매 등에 사용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동물 의료지원도 나선다. 경남도는 가축방역관 등으로 5개 동물의료지원반을 구성했다. 이들은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해 질병 검사를 하고, 동물용 의약품·방역물품 지원을 한다. 양봉 농가 방역도 지원한다.
경남도 관계자는 “피해 지역 긴급복구와 산불 재발방지를 위해 신속한 재정지원을 결정했다. 또 피해 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 지원과 복구 대책을 세우고, 정부에 재정·제도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라며 “산불 예방을 위한 대응 체계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2차 재난을 사전에 막고자 시군 재난·산림 부서,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소속 ‘경남 119토목구조대와 민관합동 현장조사를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진행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