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김신조 목사가 청와대 뒷길 퇴각로 총탄 자국을 만져보며 1·21 사태 당시를 회상하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968년 북한 무장공비로 ‘청와대 습격’(1·21 사태)을 시도했다 귀순한 김신조 목사가 9일 별세했다. 83세. 서울성락교회 등에 따르면 김 목사는 이날 새벽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김 목사는 42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나 18세부터 북한군 생활을 했다.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군 소속이던 68년 1월 21일 공작원 30명과 함께 서울 세검정 고개(자하문 고개)까지 침투했다. 청와대를 습격해 박정희 전 대통령을 암살하고, 남한을 혼란에 빠뜨린다는 목표로 북한 개성에서 출발한 지 나흘 만이었다.
이들은 청와대를 300m 정도 남겨둔 상황에서 경찰 검문에 걸렸다. 청와대 진입 시도를 저지하기 위한 군경의 소탕 작전이 벌어지자 공작원들은 수류탄을 던지고 기관단총을 쏘며 저항했다. 이때 벌어진 교전으로 이날 밤 대간첩작전을 지휘하던 서울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총경을 비롯하여 군경과 민간인 7명이 사망했다. 남파 공작원은 31명 중 29명이 사살됐고, 1명은 월북, 유일한 생존자인 김 목사는 투항했다.
김신조씨가 1968년 1월 22일 기자회견 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수다"
김 목사는 침투 당시 총을 한 발도 쏘지 않았다는 점이 참작돼 2년 만에 풀려났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숨겨둔 무기의 총신에서 탄약 냄새가 나지 않았고 총에 총알이 그대로 장전돼 있던 점 등이 수사과정에서 확인돼 사형을 면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1968년 1월 22일 새벽 장홍근 중앙일보 기자가 촬영한 김신조씨 모습.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68년 3월 전향을 결심했다. “서울시민들이 평온한 표정으로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며 마음이 흔들렸다”고 했다. 70년 4월 주민등록증을 받았고, 자신을 편지로 위로해 주던 부인과 같은 해 10월 결혼했다. 아내의 전도로 신앙의 길에 들어선 그는 91년 2월 서울 침례신학대교를 졸업했다. 남한에 건너온 날을 기념해 97년 1월 21일 목사 안수를 받았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
"자유에 대한 책임 갖고 매 순간 노력해야"
김신조씨가 2010년 4월 28일 서울광장 앞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들의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의를 표하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자전적 에세이 『나의 슬픈 역사를 말한다』와 신앙 간증집 『날지 않는 기러기』에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을 기록해 남겼다. 빈소는 영등포구 교원 예움 서서울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서지원·김창용 기자 seo.jiwon2@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