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 대미 관세율 인상 발표
익일 12시 1분부터 적용
“美의 대중 관세율 인상, 잘못된 조치”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진행된 한중 양자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9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율을 종전 34%에서 84%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는 익일 12시 01분도 적용된다.
국무원은 전일 미국의 대중 관세율 인상과 관련해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조치는 잘못된 판단”이라면서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규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 체제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날 0시 1분(한국 시각 9일 오후 1시 1분) 중국 등 세계 각국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정식으로 발효됐다. 특히 중국에는 총 104%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지난 2일 발표했을 당시 중국의 국가별 상호관세는 34%였으나 중국이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취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부터 50%포인트의 관세를 추가하는 행정명령에 전일 서명했다. 이번 중국의 조치도 이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백서는 “중국은 일방적으로 무역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중미 교역액은 지난 1979년 25억 달러 미만에서 2024년 6883억 달러로 급증했지만 최근 몇년간 미국의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대두되면서 양국 간 정상적 경제 및 무역 협력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상품 무역과 서비스 무역, 양국 기업의 현지 매출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양국 간 경제무역 관계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와 제재를 지속하게 되면 대응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는 게 중국측 입장이다. 상무부는 “중국은 무역전쟁을 할 의사가 없지만 결코 가만히 앉아서 권익이 훼손되고 박탈되는 것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측이 경제무역 제재를 더욱 강화하면중국은 확고한 의지와 풍부한 수단을 가지고 단호하게 대응하고 끝까지 동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