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의 드론 대처 작전. 사진 우크라이나 특수전사령부 페이스북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에는 시대에 뒤떨어진 전술을 선보였지만 '번개와 같은 속도'로 빠르게 현대전에 적응해 러시아군에 큰 자산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과 싸웠던 우크라이나 특수부대원 등 장병들과의 인터뷰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파병 이후 점차 달라진 북한군의 모습을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북한군이 지난해 12월 처음 전장에 대규모로 투입됐을 때는 무인기나 장갑차 등의 지원도 없어 쉽게 우크라이나군의 표적이 됐다. 전술 이해도가 낮은데 열정만 앞세운 모습이었다고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은 전했다.
북한군은 초반에는 최전선에서 벗어나 참호를 파고 병참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가 러시아군의 손실이 불면서 차츰 전장에 배치됐다. 이때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군의 포화 속에서 끊임없이 돌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제8연대의 한 병사는 지난해 12월 중순 북한군과의 전투에 대해 "마치 2차 세계대전의 한 장면 같았다"며 "그들은 그저 돌진하며 한국어로 소리쳤는데 함성이 엄청났다"고 전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사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엑스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드론 뭔지도 몰랐던 북한군, 이내 날아다녔다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이 무전기도 쓰지 않고 모든 명령을 육성으로 전달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북한군의 소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됐다.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을 포로로 잡은 뒤 이들의 머리카락 등을 채취해 검사하고, 압수한 서류를 한국에 보내 번역도 부탁했다. 검사 결과 북한군 다수가 괴혈병에 걸린 사실이 드러났다. 괴혈병은 비타민C가 부족할 때 걸리는 병이다.
우크라이나군이 확보한 북한군 문서들에는 선제공격과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우크라이나군의 드론 발사장이나 포병 진지에 관한 러시아군의 정보가 필요하다는 내용도 담겼다.
북한군이 이후 드론에 가장 먼저 적응했다. 처음 전선에 배치됐을 땐 상공의 드론을 바라보기만 했을 뿐 위험이 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던 그들이었다. 하지만 이내 드론을 피하거나 파괴하는 전술을 익혔다. 한 병사를 미끼로 삼고 다른 병사들이 드론을 사격하는 식이었다.
장교로 추정되는 북한군이 드론 탐지기를 소지한 채 숨진 채로 발견되기도 했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의 드론을 감지하고 회피하는 데 사용한 탐지기였다.
전투 초기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한 북한군은 올해 1월 초 쿠르스크에서 철수했다가 한 달 후쯤 복귀했다. 쿠르스크 수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러시아는 베테랑 드론 조종수들을 배치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
우크라이나군 정보기관 당국자는 북한군 지휘관들이 러시아인들과 함께 앉아서 한국어로 지시를 내린다고 전했다. 현장에서 북한군은 기본적인 러시아어 단어들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한다.
우크라이나군 225연대 시리아이에우 대위는 진격하는 북한군을 보며 이들에게는 전장에서 큰 이점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그것은 이들이 러시아군보다도 더 인간 생명의 가치를 명백히 무시한다는 점이라고 그는 말했다.
시리아이에우 대위는 "북한군은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더 잘 준비돼 있다"며 "그들은 쿠르스크에서의 임무를 완수했다"고 덧붙였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