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탄핵 정국이 수습되면서 그동안 지연됐던 인공지능, AI 산업 정책 추진에 다시 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모처럼 정부와 국회, 기업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이경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계엄 선포 이후 정부 정책 집행이 사실상 정지되며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국가 AI컴퓨팅 센터 설립 등의 예산 집행과 부처 간 협의도 난항을 겪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AI 스타트업들은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연구비 매칭 등에서 정부 지원이 멈춰서 어려움에 봉착했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여야는 AI 기본법을 초당적으로 통과시켰는데, 이는 유럽연합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포괄적 AI 입법입니다.
정부의 지원 근거, AI 윤리 가이드라인 등을 명문화한 것인데 "AI산업 만큼은 정치를 넘어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상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룰 수 있는 부분만큼 이루고 다음 정부가 그것을 이어나갈 수 있는 그런 기반을 꼭 만들고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과거 IT를 중심으로 '벤처 신화'를 썼던 저력이 있습니다.
당시 정부는 초고속 인터넷망 정책을 수립했고 민간은 기술 내재화를, 정치권은 협치로 지원했습니다.
지금의 AI산업도 같은 공식을 필요로 합니다.
<문송천 / KAIST 명예교수> 소프트웨어는 AI를 하려고 해도 10년의 기초투자를 해야 한다. 3년 내에 OS개발을 하고 데이타베이스도 3년 내에 개발하고 그 다음에 AI개발하고 해서 10년을 채워야...
AI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정치권, 기업 모두 힘을 모아 총력 대응해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다시 한번 신화를 쓸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질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AI기본법 #AI육성 #AI산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경태(ktcap@yna.co.kr)
탄핵 정국이 수습되면서 그동안 지연됐던 인공지능, AI 산업 정책 추진에 다시 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모처럼 정부와 국회, 기업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이경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계엄 선포 이후 정부 정책 집행이 사실상 정지되며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국가 AI컴퓨팅 센터 설립 등의 예산 집행과 부처 간 협의도 난항을 겪었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여야는 AI 기본법을 초당적으로 통과시켰는데, 이는 유럽연합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포괄적 AI 입법입니다.
정부의 지원 근거, AI 윤리 가이드라인 등을 명문화한 것인데 "AI산업 만큼은 정치를 넘어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상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룰 수 있는 부분만큼 이루고 다음 정부가 그것을 이어나갈 수 있는 그런 기반을 꼭 만들고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당시 정부는 초고속 인터넷망 정책을 수립했고 민간은 기술 내재화를, 정치권은 협치로 지원했습니다.
지금의 AI산업도 같은 공식을 필요로 합니다.
<문송천 / KAIST 명예교수> 소프트웨어는 AI를 하려고 해도 10년의 기초투자를 해야 한다. 3년 내에 OS개발을 하고 데이타베이스도 3년 내에 개발하고 그 다음에 AI개발하고 해서 10년을 채워야...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AI기본법 #AI육성 #AI산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