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적자 해소를 이유로 각 국가마다 부과한 상호관세가 오늘 발효됐습니다. 이제 미국으로 들어가는 모든 한국 제품엔 25%의 관세가 붙게 되는데, 우리 기업들은 당장 가격을 올리기보다는 재고를 활용해 버티면서 정부간 협상을 기다려본다는 생각입니다.
먼저, 최수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리 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 1분, 미국으로 수입되는 우리나라 제품에 보편관세와 상호관세를 더해 25%의 관세가 붙었습니다.
기업들은 눈치싸움에 들어갔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리 미국에 보내놓은 3개월치 재고로 가격 인상 없이 버텨본다는 전략이고, 삼성전자는 관세율이 높지 않은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해 우회 수출한다는 계획입니다.
용석우 / 삼성전자 사장 (지난 7일)
"전 세계에 약 10개 생산 거점이 있습니다. 관세에 따라서 얼로케이션(생산량 할당)을 통해서 그런 부분들의 파고를 좀 넘어가려고 하고 있고요."
하지만 높은 관세가 3개월 이상 유지되면 버티기 힘들 거란 전망입니다.
최의리 / 삼양라운드스퀘어
"이번 관세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가격 조정이 불가피해질 수도 있습니다. 다만 소비자 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당분간 가격 조정없이..."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를 제조 거점으로 삼아온 업체들은 50% 안팎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잃었고, 정부 협상 결과와 미국 수입 업체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의류 업체 관계자
"아직까지는 저희가 (미국 업체로부터) 따로 요청을 받거나 한 부분은 없는 걸로 확인했습니다. 저희도 지금 계속 주시를 하고 있는"
금융시장도 여전히 불안한 모습입니다.
코스피는 1년 5개월만에 23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도 2% 넘게 빠졌습니다.
외국인이 1조원 넘게 팔아치우면서 원달러 환율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인 1487,6원까지 치솟았습니다.
TV조선 최수용입니다.
최수용 기자(embrac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적자 해소를 이유로 각 국가마다 부과한 상호관세가 오늘 발효됐습니다. 이제 미국으로 들어가는 모든 한국 제품엔 25%의 관세가 붙게 되는데, 우리 기업들은 당장 가격을 올리기보다는 재고를 활용해 버티면서 정부간 협상을 기다려본다는 생각입니다.
먼저, 최수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리 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 1분, 미국으로 수입되는 우리나라 제품에 보편관세와 상호관세를 더해 25%의 관세가 붙었습니다.
기업들은 눈치싸움에 들어갔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리 미국에 보내놓은 3개월치 재고로 가격 인상 없이 버텨본다는 전략이고, 삼성전자는 관세율이 높지 않은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해 우회 수출한다는 계획입니다.
용석우 / 삼성전자 사장 (지난 7일)
"전 세계에 약 10개 생산 거점이 있습니다. 관세에 따라서 얼로케이션(생산량 할당)을 통해서 그런 부분들의 파고를 좀 넘어가려고 하고 있고요."
최의리 / 삼양라운드스퀘어
"이번 관세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가격 조정이 불가피해질 수도 있습니다. 다만 소비자 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당분간 가격 조정없이..."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를 제조 거점으로 삼아온 업체들은 50% 안팎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잃었고, 정부 협상 결과와 미국 수입 업체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의류 업체 관계자
"아직까지는 저희가 (미국 업체로부터) 따로 요청을 받거나 한 부분은 없는 걸로 확인했습니다. 저희도 지금 계속 주시를 하고 있는"
코스피는 1년 5개월만에 23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도 2% 넘게 빠졌습니다.
외국인이 1조원 넘게 팔아치우면서 원달러 환율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인 1487,6원까지 치솟았습니다.
TV조선 최수용입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