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주한미군사령관 "한미, 새 작계 체결…北, 대량살상무기 대응강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반도 문제, 미국 국익과 직결…한미동맹 동북아 안보 핵심 축"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미 하원 군사위 홈페이지 캡처) ⓒ News1 류정민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이 9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에 대응해 정비한 새로운 작전계획을 한국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워싱턴DC 연방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맞춰 제출한 성명에서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그는 성명에서 "작년에 새로운 통합작전계획(OPLAN)이 체결되면서 우리는 전투 준비 태세를 크게 향상할 수 있었다"라고 했다.

이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미사일 능력이 점점 더 고도화하고 있는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새 작계는 한미연합사령부가 무력 충돌에 더 잘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브런슨 사령관은 "한반도 문제는 미국의 국익과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며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이 중요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은 미국 가정, 기업, 그리고 미국 미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동북아시아는 미국의 국가 안보에 중요한 지역이며, 최근 중국, 북한, 러시아, 이란 간의 권위주의적 공모가 강화되고 있는, 새로운 도전 과제가 등장하고 있는 지역"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재 우리가 살펴보는 것 중 하나는 유엔군사령부 소속인 18개국과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지속해서 구축하는 능력"이라면서 "이는 해당 지역에서 우리의 역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 대한 우리의 결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은 순항 미사일과 극초음속 활공체 연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2024년 북한은 한차례 인공위성(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고, 47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라고 지적했다.

또 "(북한 노동당 총비서) 김정은은 핵 시설을 두 차례나 공개적으로 방문해 핵무기 능력을 발전시키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했다"라고 말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지난 1년 반 동안 북한은 러시아에 군수품과 병력을 지원했으며, 이는 북한이 또 다른 분쟁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량을 지속해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라고 짚었다.

이어 "내년에는 북한이 제8차 당대회를 목표로 초음속 및 다중독립 표적 재진입체(MERV) 역량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김정일의 리더십은 통일을 지향하던 것에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는 국경 강화, 통일 논의 거부, 공동경비구역에 있는 기념물 파괴 등이 증명한다"라고 언급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북한은 계속해서 핵무기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있으며, 러시아 장비를 보강한 130만 명 이상의 현대화된 군대를 자랑한다"라면서 경계심을 보였다.

그는 "한미 동맹은 여전히 동북아시아 안보의 핵심 축"이라면서 "저는 한반도의 지속적인 안보, 자유, 번영과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보장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런스 사령관은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함으로써 얻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제 견해로는 위치상 이점이 있다"면서 "우리가 인식해야 할 것은 적어도 우리는 필요한 곳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ryupd0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