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관세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 90일 관세 동결을 승인하고 상호 관세율을 10%로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 동결 국가에 중국은 제외됐으며, 중국에는 125% 관세율이 적용된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이 미국 행정부의 관세 유예에 급등했다.
10일(한국시간) 오전 9시 가상자산(암호화폐) 통계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8.4% 상승한 8만2614.15달러(주요 거래소 평균가)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13.2% 오른 1664.42달러, 바이낸스 코인은 5.5% 뛴 581.85달러로 나타났다.
이 밖에 솔라나는 +13.1%, 리플 +14.5%, 에이다 +13.6%, 도지코인 +12.8%, 트론 +3.6%, 아발란체 +14.6%, 시바이누 +12.4%, 폴카닷 +8.7%, 톤코인 +5.8%, 유니스왑 +13.5%, 앱토스 +8.8%, 라이트코인 +10.5%, 폴리곤 +11.7%, 코스모스 +9.1%, OKB +5.1%로 집계됐다.
미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밤사이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2962.86포인트(7.87%) 뛴 4만0608.45에, S&P500지수는 474.13포인트(9.52%) 오른 5456.90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도 1857.06포인트(12.16%) 상승한 1만7124.97에 마감했다.
가상자산 시장도 미국 증시와 동반 상승했다. 이더리움, 솔라나, 리플, 도지코인을 비롯해 주요 알트코인이 모두 10% 이상 급등했다.
9일(현지시간) 베센트 장관은 은행협회 컨퍼런스에 참석해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 및 새로운 결제 기술의 혁신을 방해할 수 있는 규제를 재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자본시장이 놀라운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혁을 고려할 것이다. 행정부의 목표는 월가뿐만 아니라 메인 스트리트에도 이익이 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보다 균형 잡힌 규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금융 포용성은 규제 개혁 비전에 따른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날 발표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는 오히려 125%까지 인상되면서 시장에는 여전히 불안감이 남겨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이 세계시장에 보여준 존경심 부족에 근거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도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와 협상이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투데이/한종욱 기자 (onebell@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