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소비자 부담 늘리고 동맹국 관계 해쳐"
수시로 바뀌는 무역 정책에 불확실성 비판
"내일도 모르는데 어떻게 내년 계획하나"
8일(현지시간) 버니 샌더스 미국 상원의원이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샌더스 의원은 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공정한 무역 정책은 필요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무차별적 관세 폭탄은 잘못된 접근”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유예를 발표했고 직후 주식시장은 급등했다.
그는 “독일이나 프랑스 같은 고임금 국가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미국 일자리가 돌아오지 않는다”며 “이런 정책은 단지 미국 소비자의 부담만 늘리고, 동맹국과의 관계까지 해칠 뿐”이라고 지적했다.
샌더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한 관세 조치를 “의회의 권한을 침해한 위헌 행위”로 규정했다.
그는 “미국 헌법은 세금과 무역에 관한 권한을 대통령이 아닌 의회에 부여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의적인 ‘비상 권한’을 주장하며 수백 개국에 일방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리처드 닉슨(1913~1994) 전 대통령 이후 가장 심각한 권력 남용”이라고 규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안보·경제 등에 현저한 위험이 발생하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외국과의 무역 등 경제활동을 광범위하게 통제할 수 있는 국가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이번 관세 정책에 동원했다.
아울러 샌더스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 일관된 무역 정책을 주문했다. 그는 “지금 필요한 것은 혼란이 아닌 일관된 무역 정책이며, 그 중심에는 노동자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