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보복 관세로 미국에 맞서던 중국이 이제는 미국 영화수입까지 줄이기로 했습니다. 중국은 단호한 대응을 강조하면서도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수출 제조업 분야에서는 이미 관세 전쟁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은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맞불 관세 84%를 추가 시행했습니다.
미국의 보복관세에 중국이 재보복을 하고 미국이 추가 보복을 하는 식입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관세·무역 전쟁에 승자는 없습니다. 중국은 싸움을 원하지 않지만 두려워하지도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145%까지 더 높인 것에 대해서도 강력 반발했습니다.
위협에 굴복하지 않겠다며 일단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겠단 발표를 내놨습니다.
현재 대중, 대미 보편 관세는 145%대 84%로, 트럼프 1기 무역전쟁 당시 25% 관세율을 이미 훌쩍 넘어섰습니다.
중국 남부 수출거점 지역 제조업 공장들은 이미 미국 수출에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월마트 납품 제조업체 : 월마트로부터 10만 개 주문을 받았지만 (관세가 오르자) 주문을 중단했어요. 생산을 멈추면 직원들은 실직할 텐데, 코로나 때보다 더 막막해요.]
미국발 주문량이 크게 줄면서 휴업이나 폐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때에 비해 중국의 대미 수출 비중이 줄었다지만 중국 경제성장률도 많이 떨어진 만큼 충돌 장기화는 큰 부담이어서 중국 정부는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다만 관세 전쟁으로 소비자와 기업이 받는 경제적 타격과 이로 인한 정치적 압박을 견디는 건, 체제 특성상 미국보다는 중국이 더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협상국면에서도 쉽게 물러서지는 않을 걸로 예상됩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채철호)
박재현 기자 repla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보복 관세로 미국에 맞서던 중국이 이제는 미국 영화수입까지 줄이기로 했습니다. 중국은 단호한 대응을 강조하면서도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수출 제조업 분야에서는 이미 관세 전쟁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은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맞불 관세 84%를 추가 시행했습니다.
미국의 보복관세에 중국이 재보복을 하고 미국이 추가 보복을 하는 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145%까지 더 높인 것에 대해서도 강력 반발했습니다.
위협에 굴복하지 않겠다며 일단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겠단 발표를 내놨습니다.
현재 대중, 대미 보편 관세는 145%대 84%로, 트럼프 1기 무역전쟁 당시 25% 관세율을 이미 훌쩍 넘어섰습니다.
[월마트 납품 제조업체 : 월마트로부터 10만 개 주문을 받았지만 (관세가 오르자) 주문을 중단했어요. 생산을 멈추면 직원들은 실직할 텐데, 코로나 때보다 더 막막해요.]
미국발 주문량이 크게 줄면서 휴업이나 폐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때에 비해 중국의 대미 수출 비중이 줄었다지만 중국 경제성장률도 많이 떨어진 만큼 충돌 장기화는 큰 부담이어서 중국 정부는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협상국면에서도 쉽게 물러서지는 않을 걸로 예상됩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채철호)
박재현 기자 replay@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