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저는 전통이 제시하는 형식보다는 전통이 주목하는 주제에 집중합니다."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2025년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된 중국의 건축가 리우지아쿤의 수상 소감이다.
아직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한 사람도 없지만 국적으로 보면 이제 중국이 둘, 미국이 8명이고, 일본이 9명으로 가장 많다. 그중 한 사람이 <탈주택_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의 공저자인 야마모토 리켄.
'탈주택(脱住宅)'은 '1가구 1주택 시스템을 대신하는 새로운 주거 형식의 제안'이다. 부연하자면 "현재의 1가구 1주택이라는 주택의 형식이 얼마나 자유롭지 못하고 얼마나 특수한 주택인가 하는 점이다. 이 주택은 20세기가 되어 발명된, 20세기라는 시대에 어울리는 주택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도 이 특수한 형식의 주택에 강하게 구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리란, 예를 들면 주택을 제안하는 건축가다. 그리고 행정이며 시행사다. 그리고 주택에 사는 주민이다. 나아가 이 특수한 주택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지금의 사회라는 공간을 그대로 승인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에 기반한 주택은 더 이상 역할이 끝났다는게 저자들의 생각.
생각해보니 '의·식·주'에 관한 책 중에서 '주'에 대한 책을 가장 소홀히 했던 것 같다. 무지를 절감한다. 무지는 읽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세상 모든 일은 철학의 산물일진데, 주택과 건축에 대한 철학 없이 어떻게 한 몸을 뉘일 수 있단 말인가. 우리 시대가 이토록 몸살을 앓는 이유 중에 하나도 '철학이 거세된 정치의 비루함' 때문 아니던가. 문제는 철학이다.
이 책 이전에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또 다른 책에 빠져든 적이 있다. 강력히 추천하고 싶은, 프리츠커상 최연소 수상자인 중국의 건축가 왕수의 <집을 짓다>라는 책이다. 철학이 있는 건축가의 전형이다. 내뱉는 것을 줄이고 되새김질하는 시대여야한다. 시대정신과 철학에 좀 더 성실해야한다.
▲<탈주택> 야마모토 리켄, 나카 도시하루 글, 이정환 번역, 박창현 감수 ⓒ안그라픽스 |
▲<집을 짓다> 왕수 글, 김영문 번역 ⓒ아트북스 |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