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스마트폰, 반도체 등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하며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는 애플 등 미 거대 기술 기업이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미국에선 가격 상승 두려움에 아이폰 '패닉 바잉(공포로 인한 구매)'까지 나타나고 있던 상황이다. 이번 조처가 중국과의 긴장 완화 손짓이라는 평가도 있다. 한국, 대만 등 아시아 반도체 기업들도 수혜를 볼 전망이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밤 10시36분께 공지를 통해 주요 전자제품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제조 장비 등에 대한 관세가 면제된다. <로이터>, <AP> 통신을 보면 현재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부과된 10% 보편관세도 이들 품목엔 면제된다.
관세 면제로 중국에서 아이폰 대부분을 생산하는 애플, 반도체 생산을 대만에 의존하는 엔비디아 등 해외에 주요 생산 기지를 둔 미 거대 기술기업들의 숨통이 트이게 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면제 조치가 지속된다면 "트럼프 정부에서 기술 업계의 첫 승리"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애플이 수년 간 인도로 생산 다각화를 위해 노력했음에도 여전히 아이폰의 80%가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0%가 넘는 관세를 부과하며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달 2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 만에 23% 폭락하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의 보복, 맞보복이 이어지며 미국의 중국 관세는 최소 145%, 중국의 미국 관세는 125%까지 치솟은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백악관이 전자제품에 대한 이번 상호관세 면제가 펜타닐 등 명목으로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앞서 부과한 관세 20%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미 딥워터자산운용의 매니징파트너인 진 먼스터가 "(소비자들의 애플 제품) '패닉 바잉'과 투자자들의 (애플 주식) '패닉 셀링(공포에 질린 매도)'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며 "이 회사를 지켜본 20년간 가장 큰 혼란"이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기업들도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 CNN 방송은 "반도체와 마이크로칩은 비용 절감을 위해 아시아 지역 공장에 많이 아웃소싱되는 품목 중 하나"라며 이번 면제가 대만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 및 한국의 삼성과 SK하이닉스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뉴욕타임스>는 애시워스가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 또한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기술 기업의 미국 생산 이전 추진은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AP>는 12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반도체, 칩,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주요 기술 제조를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 왔다"며 애플, 엔비디아 등이 "가능한 빨리 미국으로 제조 시설을 이전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은 애플, 엔비디아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관세에도 애플이 생산을 미국으로 옮길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AP>는 미 웨드부시증권 분석가 댄 아이브가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한다는 개념은 성공 가능성이 없다" 고 전망했다고 전했다. 그는 아이폰을 중국이나 인도에서 생산할 경우 현재 1000달러(약 143만원) 수준 가격이 3000달러(428만원) 이상으로 치솟을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생산을 시도한다고 해도 2028년 이전엔 어려울 것으로 봤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의 한 애플 매장에 아이폰16이 진열돼 있다.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