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가 개발 중인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BBT-877’이 임상 2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시장의 기대를 모았던 후보물질이 주요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한 만큼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 2상 탑라인(주요 지표) 데이터 분석 결과, 1차 평가지표인 24주차 강제 폐활량(FVC) 변화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임상은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 안전성,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 미국, 호주, 폴란드, 이스라엘 등 5개국에서 진행됐다. 총 129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 신약 물질의 효능 평가를 위한 1차 1표인 24주차 강제 폐활량의 변화가 약물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관찰됐으나, 두 군 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 조직이 점차 딱딱해지며 폐 기능이 저하되는 희귀질환으로, 중앙 생존 기간이 3~5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BT-877은 오토택신이라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으로 개발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임상 결과 발표는 단기적으로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면서도 “후속 분석 결과에 따라 세부 타깃 환자군을 재정의하거나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데이터를 제시할 경우 회복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왕해나 기자 haena07@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