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억 운용하는 CPPIB도 美투자 재검토
오락가락 트럼프에 글로벌 투자자 불안↑
'셀 아메리카' 잇따르면서 환율·채권 폭락
개인도 'NO 트럼프' 확산···부동산 줄매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자본이 미국 시장에서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1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달러 가치 변동을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는 지난 11일 장 중 한때 99선으로 내린 이후 이날까지 99.5 선을 등락하고 있습니다. DXY가 10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종가 기준 2023년 7월 18일 이후 처음입니다. 10년물 미국채 수익률 역시 지난 금요일 10bp(1bp=0.01%포인트) 오르면서 지난 주에만 50bp 가까이 폭등했습니다. '셀 아메리카'가 이어지면서 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금리가 오른 것이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정책과 지정학적 발언이 기관투자자부터 개인에 이르기까지 '미국 투자 이탈'을 가속화하는 모습입니다. 13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연기금과 사모펀드 등 글로벌 기관 투자가들이 미국 사모시장 투자를 중단하거나 재평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덴마크의 최대 퇴직연금 중 한 곳은 안정성 우려와 트럼프 대통령의 그린란드 점령 위협으로 미국 사모펀드 신규 투자를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임원은 "일부 사모펀드가 와서 '미국에 좋은 투자가 있다'고 하면 '6개월 후 상황이 더 안정되고 예측 가능해질 때 다시 오라'고 하거나 대폭 할인을 요구할 것"이라고 FT에 말했습니다.
그린란드를 미국의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야욕도 미국 시장에 대한 기피를 부추기고 있는데요. 덴마크의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그린란드에 대한 미국의 접근 방식이) 매우 적대적"이라며 "그런 나라에 투자를 하고 행복하게 미소 짓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큰 손' 뿐 아니라 개인들의 투자자금 이탈도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캐나다인들은 최근 수십 년간 보유해 온 미국 내 별장과 휴양용 주택을 대거 매각하고 있습니다. 미국 부동산업자 협회에 따르면 캐나다인은 2010년대 외국인 부동산 구매의 평균 23%를 차지할 만큼 미국 부동산에 관심이 높습니다. 지난해 기준으로도 13%로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요.
캐나다 몬트리올 근교에 사는 초등학교 교사 나탈리 만쿠소는 지난달 플로리다 폼파노비치의 휴양용 콘도를 23만 5000달러에 매각했습니다. 그는 WSJ에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정부가 미국 내 부동산을 소유한 캐나다인들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고 매각 이유를 밝혔습니다. 또다른 캐나다인 게리 리보이론 역시 피닉스 남동쪽에 있는 주택을 매각하면서 "미국 정부가 캐나다 소유의 부동산을 국유화할지도 모른다는 걱정까지 들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불확실성과 트럼프 대통령의 막무가내 정책이 사람들의 불안감을 부추기고 있는 모습입니다.
플로리다 보카라톤의 부동산 중개업자 캐서린 스피노도 "올해 1월 이후 캐나다인 매도 고객이 평년의 두 배로 증가했고, 매수자는 급감했다"며 "불확실성이 핵심 요인"이라고 짚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양국에 사무실을 둔 법률회사 알트로의 데이비드 알트로 변호사 역시 "최근 몇 달간 미국 내 주택을 매각하는 캐나다인 고객이 주당 2명에서 20~30명으로 급증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단에 있는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연재’ 구독을 하시면 대체투자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
김민경 기자 mk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