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게이트·알테리아 인수···보안 전략 전면 재편
실시간 탐지·AI 분석 결합한 웹3 전용 솔루션 공개
업권법 논의 본격화···“웹3 보안 기준도 함께 가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가 실시간 위협 대응 기술을 앞세워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사후 분석에 머물던 기존 모델을 넘어 해킹 발생 이전 단계에서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즉시 차단하는 방식이다. 해킹 탐지부터 자산 추적까지 아우르는 웹3 보안 종합 제품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15일 서울 강남구에서 만난 구민우 체이널리시스 코리아 부사장과 니브 예헤즈켈 체이널리시스 보안 제품 엔지니어링 총괄은 "이제는 추적보다 선제 대응이 중요한 시대"라며 "웹3 보안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한 포괄적 솔루션을 한국 시장에 제안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체이널리시스는 미국 최대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이다. 2022년 1억 7000만 달러(약 2423억 원) 규모의 시리즈 F 투자를 유치했다. 당시 기업가치는 86억 달러(약 12조 2601억 원)로 평가받았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에 특화돼 있다. 전 세계 공공기관에도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지난해 9월 체이널리시스는 한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금융감독원 가상자산조사국도 자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의 정책 환경도 체이널리시스의 관심사다. 구 부사장은 "국내 거래소와 지갑 기업 상당수가 보안을 후순위에 두고 있다"며 "법인 투자 허용이 가시화되는 지금, 자율 보안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최근 웹3 보안 환경이 복잡해지고 위협 속도도 빨라졌다고 진단했다. 이에 다중 서명 시스템과 스마트컨트랙트 모니터링 등 겹겹의 방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그는 이어 “향후 마련될 업권법에 웹3 보안 요소가 제도적으로 포함되길 바란다”며 “정부 차원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시장 전체의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도예리 기자 yeri.d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