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후 첫 대중연설…"사회보장제도 중요해"
[시카고=AP/뉴시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미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권익 비영리단체 'ACRD' 전국 콘퍼런스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사회보장제도는 단순한 정부 프로그램이 아니라 신성한 약속”이라며 “7300만 미국인이 이 제도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신뢰를 결코 저버려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2025.04.16.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처음으로 대중연설에 나섰다. 최근 사회보장제도가 위협받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다만 민주당 일각에선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재등장이 반갑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권익 옹호자 대상의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사회보장제도를 "도끼로 쳤다"며 "너무나 큰 피해와 파괴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회보장제도는 단순한 정부 프로그램이 아니라 국가적으로 맺은 신성한 약속"이라며 "우리는 사회보장제도가 국민의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보장제도는 매년 7300만 명의 노인과 장애인에게 1조4000억달러(약 2002조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대선 유세 기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보장제도 혜택에 손을 대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 정부효율부(DOGE)는 최소 7000명의 사회보장국(SSA) 직원을 감축하고 사무실을 폐쇄하기로 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등장을 바라보는 여론은 엇갈린다. 민주당 전략가인 캐런 피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초래한 정치·경제적 반발을 바이든 전 대통령이 분산시킬 것을 우려했다. 피니는 로이터에 "드디어 트럼프 정책의 방어벽에 균열이 보이기 시작했는데, 트럼프가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는 횃불로 바이든을 활용하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 많은 민주당 인사들은 바이든 전 대통령을 트럼프 당선의 원인으로 여기고, 임기 말 인기도 없었다며 정계에 다시 뛰어들지 않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