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출마론' 박수영은 金캠프 합류…"金 1등 만든 뒤 단일화 가교"
경쟁주자들, 한덕수 출마론 비판…洪 "술책" 한동훈 "불공정" 羅 "부적절"
민주, 韓대행 맹공…"국익 갖고 출마 장사, 대통령 놀음으로 국민 무시"
한덕수 권한대행, 기아 공장 방문 |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설승은 안채원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광폭 행보가 이어지면서 '한덕수 대선 출마설'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달 24일 대통령 권한대행 복귀 이후 안정적 국정운영과 미국발 관세 전쟁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천명했으나, '대권행보'로 해석될 수 있는 이벤트가 이어지면서 대선 정국의 최대 변수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한 권한대행은 전날 광주 기아오토랜드를 방문했다.
보수 정권 인사의 광주 방문은 이른바 '통합 행보'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전북 전주가 고향인 한 권한대행이 국민의힘 일각에서 제기되는 '호남 후보론'을 의식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한 권한대행이 출마 여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서 진보·보수 진영 대선 주자들의 견제와 비판 수위는 갈수록 올라가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에는 불출마했지만 사실상 무소속 출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치적 행보를 이어가며 여론 동향을 살피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정책비전 발표하는 한동훈 전 대표 |
박 의원은 '경선 후 김 후보와 한 대행의 단일화로 대선에서 승리하려는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대선에서 승리할 유일한 방법이고 필승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 측도 "박 의원 구상이 맞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한 대행이 출마하면 당연히 단일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의 김 후보 캠프 합류를 계기로 한 권한대행 출마를 원하는 당원이나 의원들의 지지세가 김 후보에게 쏠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일부에서 나온다.
한 후보 캠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향후 단일화를 염두에 둔 인사일 수는 있다고 본다"면서도 "당장 경선 구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후보 캠프 관계자도 "박 의원이 합류한 건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한 권한대행의 지지율 자체가 미미해 경선에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나 후보 캠프 관계자는 "결국 한 권한대행이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홍준표 후보는 KBS 라디오에서 한 권한대행 출마론과 이후 단일화 가능성을 두고 "우리 당 내부를 흔들려는 술책"이라고 지적했다.
한동훈 후보는 KBS 라디오에서 한 권한대행 출마론에 대해 "갑자기 (한 대행이) 부전승으로 기다린다? 그것을 누가 동의하겠는가. 누가 그것을 공정하다고 생각하겠는가"라고 말했다.
나경원 후보는 SBS 라디오에서 한 대행이 대선 출마 여부와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해 "출마하고 싶은 내심이 좀 있어 보인다"며 "지금 모습은 굉장히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홍준표 전 시장, 선진대국시대 비전발표회 |
'G5 강국' 공약 발표하는 나경원 의원 |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이 대권 뜻을 위해 국정을 이용하는 '대통령 놀음'을 하고 있다며 맹공을 이어갔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행 역할을 할 것이면 당장 불출마 선언을 하고, 출마할 속셈이면 당장 대미 관세 협의에서 손 떼라"며 "이완용도 아니고 국익 갖고 자기 출마 장사를 하는 경우가 어디 있나"라고 비판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국회 대정부질문에도 무단 불출석하고, 공장 시찰 '대통령 놀음'으로 국민을 무시하는 모습은 윤석열을 쏙 빼닮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전날 한 방송사가 '한 대행이 이재명 대통령을 막는 게 사명이라고 말했다'는 취지로 보도한 것을 두고서도 한 권한대행에 직접 해명을 요구했다.
김병주 최고위원은 "어떻게 대통령 권한대행의 사명이 민주당 대선 후보 발목을 잡는 것이냐"라며 "국정에는 관심이 없고, '잿밥'에만 마음을 두고 있나"라고 지적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이 직접 해명해야 한다"며 "사실이면 공무원의 중립의무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김문수 전 장관-오세훈 서울시장 회동 |
chaew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