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P 연합 지역 연대,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진보+중도 연대
관건은 확고한 지분 가진 세력 연합…'스몰텐트'로는 한계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지난 1989년 3월 4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국사진기자협회 보도사진연감) 2018.6.23/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6·3 조기대선을 48일 앞두고 '반(反)이재명 빅텐트' 구상이 정치권을 연일 달구고 있다. 지지층 연대를 통한 시너지 효과는 물론, 단일화의 의외성과 충격파가 성패를 가를 핵심 요소로 꼽힌다. 현대 정치사에서 1997년 DJP연합과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는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
DJP연합, 정권교체 이끈 지역 연합 모델
1997년 DJP연합은 호남의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와 충청의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총재, 두 지역 맹주가 손을 잡고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를 꺾으며 헌정 사상 첫 정권교체를 이뤄낸 사례다. DJ가 단일후보로 나서는 대신, JP에게 공동정권의 국무총리와 조각권을 보장하는 합의를 통해 가능했다.
당시 시대적 과제였던 '보수 청산'과 수차례 죽음의 고비를 넘긴 민주화 상징 김대중 후보의 서사가 결합되며 단순한 정치 연합을 넘어 국민적 감동과 '이번엔 반드시 바꿔야 한다'는 열망을 이끌어냈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역시 진보와 중도 진영의 연합을 통해 강력했던 '이회창 대세론'을 무너뜨린 경우다. 경선 초반 지지율이 1%대에 불과했던 노무현 후보는 텃밭 광주에서 유력 주자 이인제를 꺾고 '언더독 신화'를 썼다.
단일화 여론조사에서는 정 후보 우세가 예상됐지만, 결과적으로 노 후보가 승리했다. 특히 정 후보의 선거 전날 지지 철회라는 악재가 돌출했지만 지지층을 더욱 결집시키는 '극적인 반전'이 나타났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 3주기 추모식이 열린 지난 2012년 5월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추모객들이 노 전 대통령의 생전사진을 보며 추모식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2.5.23/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단일화의 성패의 본질은 분명한 정치적 기반에 있다. DJ와 JP처럼 지역 기반이 탄탄하거나, 노무현·정몽준처럼 세대·이슈를 기반으로 한 뚜렷한 지지층 확보가 관건이다. 2022년 대선에서도 당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이대남'(20대 남성)을 중심으로 지지 기반을 구축했던 것이 대선 승리의 주요 요인이다. 단일화 수용 여부와 그에 대한 설득력 역시 단일화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꼽힌다.
정치 기반과 설득력, 단일화의 성패 가른다…변수는 한덕수
전북 전주 출신인 한 권한대행은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수석, 노무현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내며 진보와 보수 정권을 두루 거쳤다. 이 같은 이력 덕분에 중도층은 물론 온건 진보층까지 폭넓게 끌어안을 수 있다는 평가다.
한국갤럽 4월 2주차 장래 정치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2%로 처음 이름을 올렸고, 호남에서는 5%를 기록하며 여권 인물 중 가장 높은 지지를 받은 점도 주목할 만한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반면 이재명 전 대표는 호남에서 56%의 지지율을 얻었지만 '의견 유보' 응답이 24%로 높아 텃밭 내 장악력에 빈틈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낙연 전 대표 등 중도 성향의 호남 인사들과 연대하면, 야당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전북을 중심으로 이 전 대표의 독주 체제에 균열을 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TF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총리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4/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ngela020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