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6억 이하 아파트 어디갔나...어려워지는 내 집 마련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
2년 새 반토막...경기·인천도 줄어


원종 휴먼빌 클라츠 투시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수도권 내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집값 부담은 늘어나고 대출 규제는 강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는 양상이다.

1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확인한 결과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22년 전체 거래의 40.32%를 차지했지만 2024년에는 20.64%로 급감했다. 수도권에서도 같은 기간 경기는 78.64%에서 69.39%로, 인천은 90.24%에서 84.48%로 줄었다.

이런 현상은 아파트 매매가격과 분양가 자체가 꾸준히 상승하는데다, 공급 물량은 줄어들면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찾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6억원 이하 매물이 희소해지면서 실거래 건수도 줄고 있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디딤돌대출의 약 95%는 주택가격 6억원 이하에 집중됐으며 같은 기간 전체 공급의 95%가 서울 외 지역에 분포됐다.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주택을 찾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현실과 맞물린다.

또 기준금리는 올 2월 2.75%로 소폭 하락했지만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여전히 최고 연 4% 후반대에 머무르고 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체감 부담이 높을 수밖에 없다.

오는 7월부터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대출 심사 시 '스트레스 금리'를 100% 반영해야 하고, 모든 부채의 원리금이 연 소득 일정 비율을 초과하면 대출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실수요자들에게는 사실상 또 하나의 ‘진입 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부동산 수요자들은 매매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한 청약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하지만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합리적인 새 아파트'를 찾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와 규제 영향으로 대출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산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존재한다"며 "다만 수요자들 역시 현명해져서 무조건 저렴한 집보다는 입지, 상품성, 향후 가치까지 고려해 '한 채'를 제대로 고르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 생활권을 누리는 경기 부천 원종지구에서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6억원 이하로 공급되는 새 아파트 분양 소식이 있다. 일신건영은 4월 '원종 휴먼빌 클라츠'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15층 4개 동, 전용면적 46~59㎡, 총 255가구 규모다. 청년이나 신혼부부, 그리고 노년부부가 살기 좋은 소형 평형 위주로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을 이용하면 원종지구에서 여의도까지 20분대, 종로까지 30분대, 마곡까지는 10분대로 이동 가능하다.

제일건설은 4월 16일 경기 양주역세권에 선보이는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의 2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지하 3층~지상 40층, 4개 동, 전용면적 70~101㎡, 총 702가구다. 전용면적 84㎡ 타입 분양가가 6억원 아래로 책정됐으며, 40층의 고층 설계를 통해 뛰어난 조망권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현대건설이 용인 남사(아곡)지구에 분양하는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도 2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 중이다. 해당 단지 역시 전용면적 84㎡가 6억원 이하로 책정됐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7층, 7개동 전용면적 84~182㎡, 총 660가구다. 공립처인성유치원과 초중고 등이 도보 거리에 위치한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