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새 반토막...경기·인천도 줄어
원종 휴먼빌 클라츠 투시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수도권 내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집값 부담은 늘어나고 대출 규제는 강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는 양상이다.
1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확인한 결과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22년 전체 거래의 40.32%를 차지했지만 2024년에는 20.64%로 급감했다. 수도권에서도 같은 기간 경기는 78.64%에서 69.39%로, 인천은 90.24%에서 84.48%로 줄었다.
이런 현상은 아파트 매매가격과 분양가 자체가 꾸준히 상승하는데다, 공급 물량은 줄어들면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찾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6억원 이하 매물이 희소해지면서 실거래 건수도 줄고 있는 것이다.
또 기준금리는 올 2월 2.75%로 소폭 하락했지만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여전히 최고 연 4% 후반대에 머무르고 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체감 부담이 높을 수밖에 없다.
부동산 수요자들은 매매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한 청약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하지만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합리적인 새 아파트'를 찾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와 규제 영향으로 대출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산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존재한다"며 "다만 수요자들 역시 현명해져서 무조건 저렴한 집보다는 입지, 상품성, 향후 가치까지 고려해 '한 채'를 제대로 고르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 생활권을 누리는 경기 부천 원종지구에서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6억원 이하로 공급되는 새 아파트 분양 소식이 있다. 일신건영은 4월 '원종 휴먼빌 클라츠'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15층 4개 동, 전용면적 46~59㎡, 총 255가구 규모다. 청년이나 신혼부부, 그리고 노년부부가 살기 좋은 소형 평형 위주로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을 이용하면 원종지구에서 여의도까지 20분대, 종로까지 30분대, 마곡까지는 10분대로 이동 가능하다.
현대건설이 용인 남사(아곡)지구에 분양하는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도 2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 중이다. 해당 단지 역시 전용면적 84㎡가 6억원 이하로 책정됐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7층, 7개동 전용면적 84~182㎡, 총 660가구다. 공립처인성유치원과 초중고 등이 도보 거리에 위치한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