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개막한 오사카 엑스포
‘올젠더’ 화장실칸 108개 마련
“성소수자 배려” “사용 꺼려져”
개막 이틀째 관람객 반토막
‘올젠더’ 화장실칸 108개 마련
“성소수자 배려” “사용 꺼려져”
개막 이틀째 관람객 반토막
이번 오사카 엑스포에 설치된 올젠더 화장실의 모습. [X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13일 일본 오사카에서 개막한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만국박람회)회장에 설치된 ‘올젠더 화장실’이 주목받고 있다.
올젠더 화장실은 성별 구분없이 누구나 이용가능한 화장실로, 성소수자(LGBTQ)에 대한 배려 취지로 도입됐다. 다만 관람객들 중에는 익숙하지 않은 형태에 당황스럽다는 의견도 있어 향후 정착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올젠더 화장실은 이번 박람회장 전체 화장실의 약 40%에 설치돼 있다. 총 45곳의 화장실 중 18곳에 남녀 화장실과 별도로 독립된 칸막이 형태의 올젠더 화장실 총 108개가 마련됐다. 화장실 입구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상징하는 그림 기호가 표시됐다.
성소수자를 지원하는 한 비정부기구 관계자는 “심리적 성과 신체적 성이 불일치하는 사람들 중에는 공공 화장실에서 시선을 피하기 위해 이용을 꺼리는 경우도 많다. 엑스포 같은 세계적 이벤트에서 도입은 모두가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매우 환영할 일”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올젠더 화장실은 일본에서는 지난 2021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보급이 시작돼, 올림픽이 열린 국립경기장과 나리타 공항 등 주요 시설에 설치됐다.
오사카 엑스포의 공식 캐릭터 먀쿠먀쿠. [오사카=연합뉴스] |
한편, 이번 엑스포는 개막전 우려됐던 대로 흥행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박람회협회측은 개막 이틀째인 14일 관람객 수가 5만 1000명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개막 첫날인 11만 9000명에서 하루만에 반토막이 난 것이다.
협회 측은 박람회가 열리는 6개월 동안 총 2820만 명의 누적 방문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를 달성하려면 하루 평균 약 15만 명이 방문해야 한다.
개막 이후에는 악천후와 혼잡, 통신 장애 등으로 관람객 불편이 이어졌고, 일본 SNS에서는 ‘엑스포 위험하다’는 해시태그가 트렌드에 오르기도 했다.
마이니치신문이 1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이번 엑스포를 참관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일본인들의 비율은 13%에 불과했다.
협회측은 “앞으로 각종 행사가 순차적으로 열릴 예정”이라며 “더 많은 관람객 유치를 위해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