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트럼프 '전략 부재' 틈새 노리는 러·이란…중동 불안감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중동서 정책 엇박자

"러시아는 적시 전략 사용…美 전략 부재"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동 정책이 역내 불안감을 증폭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이스라엘 등 '동맹국 편들기'부터 최근의 유네스코 탈퇴, 이란 핵협정 불인증까지 자국 이익을 최우선에 두는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에 전통적인 미국의 우방마저도 등을 돌리는 모습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이란 핵 협정' 불인증이다. 2015년 'P5+1(주요 5개국+독일)'간 체결된 이 협정은 핵 개발 중단을 대가로 국제사회의 대(對)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게 골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이를 파기 또는 재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불인증 결정은 파기·재협상을 만류하는 행정부와 국제사회 목소리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JCPOA(이란 핵 협정에 따른 포괄적 공동행동계획)의 운명은 제재 재부과 여부를 결정할 의회의 손에 넘어갔다. 그러나 만일 의회가 제재 재부과를 결정할 경우 이란은 협정을 파기할 명분을 갖게 되며, 북핵 위협을 다루는 미국의 목소리도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

12일 미국의 유네스코 탈퇴도 자국 우선주의 움직임 중 하나다. 특히 주된 탈퇴 이유 중엔 유네스코의 '반(反)이스라엘 편향'과 체불금 문제가 포함됐다. 유네스코는 지난해 동예루살렘에 있는 이슬람·유대교 공동 성지 관리 문제에서 팔레스타인 손을 들어줬고, 7월에는 이·팔의 갈등 지역인 서안지구 헤브론 구시가지를 팔레스타인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한 바 있다. 미국의 유네스코 체불금 역시 2011년 팔레스타인의 유네스코 가입으로 인해 발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앞서 이·팔 공존을 위한 '2국가 해법'을 부정했단 점에서 이 같은 결정은 미국이 '이스라엘 편향'을 보인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동 평화 유지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2국가 해법과 JCPOA 모두 트럼프 행정부하에 흔들리는 셈이다.

뉴스1

지난 4일(현지시간) 러시아를 찾은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동을 흔드는 사이 러시아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다. 러시아는 그동안 이란을 통해 시리아·예멘 내전에 개입하며 중동 세력 키우기에 집중해 왔다.

상징적인 사건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이달 초 러시아 방문이다. 사우디 왕가가 러시아를 공식 방문한 것을 이번이 처음으로, 양국 관계가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우디는 러시아로부터 S-400 대공 미사일을 구매하는 데 합의하기도 했다.

러시아에 기대는 미국의 동맹국은 사우디뿐이 아니다. 최근 IS 격퇴전·비자 문제를 두고 미국과 갈등을 빚는 터키 역시 시리아 내전을 통해 러시아와 가까워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양국의 '비자전쟁'을 두고 "러시아와 이란 국민들은 터키에 입국할 수 있지만, 미국인들은 그들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국을 여행할 수 없다"고 꼬집기도 했다.

미국의 주도하에 국제연합국이 실시 중인 수니파 급진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몰락은 이 같은 중동 정세에 혼란을 더할 전망이다. IS는 이라크·시리아 내 영토를 대부분 잃었으며 패배가 사실상 예정돼 있다. 포린폴리시(FP)는 앞서 헤즈볼라·이란·러시아 동맹이 IS의 공백을 메우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의회 전문지 더힐은 "러시아는 전략을 갖고 있으며, 적시에 적절한 정책을 이행하고 있다. 이란뿐 아니라 미국의 동맹국과 중동 전역에서 힘을 성공적으로 키우고 있다"며 "미국은 막대한 물질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전략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개입은 일련의 돌발 상황으로 타락했다"고 지적했다.

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oho0901@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