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week&] 어휴 넓다 … 시장 한 바퀴에 하루가 모자라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메기·대게 유명한 경북 최대 시장

개복치·피데기 등 다양한 수산물

5000원 백반 등 저렴한 별미도 많아

시장에서 놀자 ④ 포항 죽도시장
중앙일보

포항 죽도시장은 경북 최대이자 동해안 최대의 전통시장이다. 수산물과 건어물이 시장 업종의 60%를 차지한다. [신인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죽도시장은 크다. 부지는 14만8760㎡, 점포 수는 1700개(노점 포함)에 달한다. 서울 남대문시장(4만2225㎡)이 3개 들어가고도 남는 크기다. 경상북도에서 제일 클 뿐 아니라 동해안 최대 시장이다. 드넓은 시장에서 방문객 대부분이 찾는 곳은 횟집과 어시장이 몰려 있는 구역이다. 특히 죽도시장의 상징인 과메기와 대게를 파는 겨울에는 수산물 구역이 늘 인산인해를 이룬다.

죽도시장을 찾았던 10월 25일 수산물 구역은 예상 밖으로 한산했다. 아직 과메기·대게 철이 오지 않아서였다. 김홍민(62) 죽도시장 상가번영회 사무국장은 “11월부터는 200m가 넘는 과메기 거리에서 상인들이 줄지어 앉아 과메기 껍질을 벗기는 진풍경이 펼쳐진다”며 “과메기를 전문으로 다루는 점포만 80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시장 한쪽 구석에서 과메기를 포장하는 가게가 보였다. 구룡포에 덕장을 갖고 있다는 이국동(58) ‘할매왕과메기’ 사장은 “올해는 날이 더워 본격적인 과메기 출하가 늦어졌고 생선도 예년보다 적다”며 “찬바람이 조금 더 불어야 과메기도 제맛이 든다”고 말했다.

과메기는 꽁치나 청어로 만든다. 갓 잡은 신선한 고기를 냉동해 뒀다가 찬바람 부는 가을부터 해풍에 말려 건조시킨다. 포항 과메기가 다른 지역보다 유명한 이유를 이 사장에게 물었다. 그는 “과메기 맛은 전적으로 덕장에 좌우되는데 해풍이 좋은 구룡포가 최적의 조건”이라며 “생선도 중요하지만 건조를 잘해야 쫄깃쫄깃한 식감이 극대화된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11월부터 과메기 판매가 본격화된다. [신인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산물 코너는 비록 과메기나 대게가 없어도 먹을 것, 볼 것 천지였다. 동해안 일대에서 ‘피데기’라고 불리는 반건조 오징어, 주황색 알이 잔뜩 밴 참가자미가 주인공 행세를 하고 있었고 경북 지역에서 많이 먹는 문어와 ‘돔배기’(염장한 상어 고기)를 파는 집이 많았다. 수십 년 전통을 이어온 고래 고기 전문점 ‘할매고래’와 ‘왕고래고기’가 좁은 길을 사이에 두고 경쟁하는 모습도 흥미롭다. ‘태영수산’에서는 해체작업이 끝난 개복치도 맛볼 수 있었다. 청포묵·곤약처럼 생긴 개복치 순살코기의 맛을 묘사한다면 무미(無味). 그런데도 개복치는 포항에서는 잔칫날 별미로 반드시 상에 올린단다.

수산물과 건어물이 시장의 60%를 차지하지만 다른 구역도 둘러볼 만하다. 농산물 구역만 해도 다른 지역의 웬만한 시장 못지않게 크다. 허창호(47) 죽도시장 연합상인회장은 “죽도시장은 포항뿐 아니라 경주·영덕·울진 농산물의 집결지이기도 하다”며 “몇 년 새 고속도로가 많이 뚫리면서 수산물뿐 아니라 농산물을 찾는 손님도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시장을 구석구석 둘러보면 값비싼 생선회나 해산물 말고도 즐비한 먹거리와 마주하게 된다. 1만원만 있어도 든든하게 두 끼니를 해결하고 간식까지 먹을 수 있다. 먼저 들러 볼 곳은 건어물 구역 안쪽에 있는 수제비 골목. 수제비와 칼국수를 파는 식당 약 스무 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1인분 3500원. 멸치향 강한 국물까지 깨끗이 비우면 제법 든든하다.

중앙일보

대원식당 5000원짜리 백반. [신인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제비 골목 옆에는 백반집이 많다. 주로 상인들이 찾는 허름한 밥집이다. 사람들이 줄지어 선 식당을 피해 의류 구역에 있는 ‘대원식당’을 찾았다. 5000원짜리 백반을 주문하니 간고등어와 동태탕을 포함해 13찬이 나왔다. 전라남도 한정식집에 온 것도 아닌데 말이다. 시장에서 공수한 신선한 재료로 만든 반찬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이 놀라웠다. 이런 백반집은 보통 오전 7시에 문을 열어 오후 6시쯤 닫는다.

시장에는 군것질거리도 많다. 호떡집이 유독 많은데 중앙로 쪽 입구에 있는 ‘할매호떡’은 40년 가까운 내력을 자랑한다. 어머니의 뒤를 이어 고명희·은희 자매가 8년째 호떡을 굽고 있다. 1개에 700원짜리 호떡도 접시에 정성껏 담아 준다. 날마다 밀가루 반죽 20㎏만 파는데 오후 4~5시면 재료가 다 떨어진단다. 청년상인인 김진호 사장이 호떡을 굽는 ‘총각호떡’은 죽도시장에서 가장 긴 줄이 늘어선 가게다. 1500원짜리 크림치즈호떡이 별미다.

죽도시장의 간판 메뉴를 응용한 대게빵·과메기빵도 볼 수 있다. 대게빵에는 실제로 대게 살이 들어 있는데 생각보다 비린내가 나지 않고 팥소와 궁합이 좋다. 과메기빵에는 과메기가 없다. 붕어빵의 변종으로 물고기 모양을 하고 있다. 청어인지 꽁치인지는 분간하기 어렵다.

중앙일보

죽도시장


◆여행정보
서울시청에서 포항 죽도시장까지는 338㎞, 자동차로 약 4시간 걸린다. 시장에서 1.5㎞만 걸어가면 포항 송도해수욕장이 나온다. 한국을 대표하는 일출 명소 호미곶은 약 30㎞ 거리다. 죽도시장은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기 편한 시장이기도 하다. 13개 금융기관에서 파는 온누리상품권은 60% 이상 사용하면 나머지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준다.



포항=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