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미투' 운동과 사회 이슈

남성 75% “미투 지지”… 49% “남녀갈등 심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79% “성평등 향상에 도움”
88% “권력형 성범죄 심각성 인식”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성 10명 가운데 8명은 미투(#Me Too·나도 피해자다) 운동을 지지하지만, 2명 중 1명은 남성이 여성을 배제하는 펜스룰이나 남녀 갈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 4월 10~11일 이틀간 전국 만 19~69세 성인 1013명(남성 49.2%, 여성 50.8%)을 대상으로 진행한 미투운동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2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여성의 83.8%, 남성의 75.8%가 ‘미투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미투 효과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긍정적 응답이 많았다. ‘미투 이후 성희롱이나 성폭력, 성차별 이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66.5%, 여성 76.2%였다. ‘미투가 권력형 성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됐는가’라는 질문에 전체의 88.3%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우리 사회 성평등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서 79.4%가 그렇다고 답했다. 미투를 계기로 남성의 성평등 인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고 보는 남성은 74.3%로 여성(67.0%)보다 많았다.

그러나 미투로 펜스룰이나 성별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특히 남성의 49.2%, 여성의 44.3%가 갈등이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을 묻는 질문에서는 남녀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77.0%는 우리 사회를 여성에게 불평등한 사회라고 인식했지만 남성은 47.5%만 여성에게 불평등한 사회라고 봤다. 오히려 남성의 29.1%는 ‘남녀평등한 사회’라고 답했으며, 17.7%는 ‘남성에게 불평등한 사회’라고 응답했다.

우리 사회 성평등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정책으로 5명 가운데 1명(21.5%)은 ‘노동시장 내 성차별 해소’를 꼽았다. 그 외 ‘가족·사회 내 성평등 의식과 문화 확산’(15.5%), ‘돌봄 노동 분담’(11.0%)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80.4%가 성평등 수준 향상이 남녀 모두의 삶을 개선할 것이라고 답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