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피해 고백·증언 여기서’ 신고센터 26일 문 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단서가 될 계엄군 고백과 피해자 증언을 받는 신고센터가 생겼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26일 ‘5·18 고백과 증언 신고센터’ 현판식을 열고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신고센터는 집단발포 명령체계, 시민학살 경위, 행방불명자 신원·규모·암매장 정보 등 5·18 진상규명에 필요한 당사자 증언을 모든다.

계엄군과 보안사 요원이 자행한 성범죄 등 국회 광주특위 이후 진상규명 과정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 피해자 증언도 청취한다.

신고센터는 광주시 인권평화협력관실 5·18진실규명지원단, 5·18기념재단이 함께 운영한다.

신고센터가 받은 5·18 관련 인물들의 고백과 증언은 9월에 출범하는 5·18 진상규명위원회로 이관한다.

5·18재단 상임이사급 책임자가 실무를 담당하고 제보자 신원을 보호한다.

조진태 5·18재단 상임이사는 “5·18 미완의 과제를 풀기 위해서는 핵심 관계자 고백과 피해 당사자 증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38년 동안 진실을 숨기거나 함구할 수밖에 없었던 당사자들이 용기를 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5·18 당시 피해상황을 목격하거나 증언하려면 광주시 인권평화협력관실 5·18진실규명지원단(062-613-5385), 5·18기념재단 사무처(062-360-0518)로 연락하면 된다.

<배명재 기자 ninaplus@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