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크렘린 "푸틴, 볼턴 만난다…양국관계 등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러회담 헬싱키 개최설엔 "아직 발표할 게 없다"

뉴스1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자료사진>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접견할 예정이라고 크렘린궁이 밝혔다.

AFP·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의 전화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이 오늘 크렘린궁에서 볼턴 보좌관을 만날 것"이라면서 "'애석한 상태'에 놓인 양국관계와 주요 국제 문제를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이르면 다음 달 중 열릴 것으로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 정상회담 관련 논의를 위해 이날부터 모스크바를 방문 중이다.

이와 관련 볼턴 보좌관은 이날 푸틴 대통령 예방에 앞서 유리 아베리야노프 안보회의 제1부서기와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차례로 만나 상호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타스통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 3월 치러진 러시아 대선에서 푸틴 대통령이 네 번째 집권에 성공했을 때 전화통화에서 그의 당선을 축하하며 "가까운 미래에 정상회담을 열자"고 말했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그간 국제회의 석상에서 종종 마주치긴 했지만, 양자회담은 아직 연 적이 없다.

이는 현재 미국 내에서 진행 중인 러시아의 지난 2016년 미 대통령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수사 등과도 관련이 있다.

미 정부 외교·안보라인에서 대표적인 '매파' 인사로 꼽히는 볼턴도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의혹 등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해왔던 인물이다.

이외에도 미 정부는 올 3월 영국에서 발생한 러시아계 2중 간첩 출신 세르게이 스크리팔 부녀 살해 시도 사건과 관련해서도 '러시아가 배후'라는 영국 등의 입장에 동조, 자국 내 러시아 외교관을 추장하는 조치를 취했다. 러시아 또한 미국의 이 같은 조치에 '맞추방' 형식으로 대응했다.

미 정부는 또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병합 이후 대(對)러시아 경제제재도 이어오고 있는 상황이다.

크렘린궁이 미·러 양국관계를 '애석하다'고 표현한 것도 이 같은 점들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크렘린궁은 이르면 다음 달 핀란드 헬싱키에서 미·러 정상회담이 열릴 전망이란 등의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해선 "아직 발표할 만한 게 없다"며 말을 아꼈다.
ys417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