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칼럼]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손주혁 홍보위원장
손주혁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홍보위원장 |
얼마 전 필자는 국내 바이오 기업으로부터 유방암 검사법에 대한 기술심사 자문 요청을 받았다. 꽤 괜찮았다. 정부 연구비도 수십억원, 투자도 수백억원 받았을 정도로 좋은 아이디어와 기술을 갖고 있었다. 문제는 이 기술이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지 증명해야 하는데, 대형병원 한두 곳의 데이터만으로는 신뢰성이 부족해 보였다. 이 문제를 지적했더니 회사 대표는 우리나라에 임상시험을 해놓은 곳이 없어 제대로 된 환자 데이터나 암 조직을 구할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임상시험은 신약·의료기기를 개발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연구다. 서울이 글로벌 제약회사 주도 임상시험 등록 세계 1위 도시에 뽑힐 정도로 우리나라는 임상시험 경쟁력이 있다. 임상시험 수행 능력도 있고 실제 많이 진행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모든 지적소유권이 회사에 있다.
금전적 이익과는 관련 없지만 임상연구자가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아이디어가 있을 때도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암 연구에서는 대한항암요법연구회를 대표해 몇 개의 연구 조직이 있다.
문제는 국내에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에 필요한 연구비 지원이 미미해서 NSABP 같은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실험실에 훌륭한 연구결과가 있어도, 정부가 많은 연구비를 투자해도 ‘임상시험 연구 지원’이라는 퍼즐이 비어 있는데 제약·바이오 산업 선진화가 가능할까.
지금 한국에는 백순명 교수 같은 과학자가 없어서, 총 연구비가 작아서, 열정적인 벤처기업이 없어서 제약·바이오 산업이 점프를 못 하는 것이 아니다. 연구기관 임상시험 지원을 통해 대규모 임상시험이 진행되도록 하고 환자에게 도움되는 치료법을 개발해야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의 마지막 퍼즐을 맞출 수 있다.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