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바로 알기 캠페인③
저조한 국민 인식도 제고
전문 간호사·클리닉 지원
의료비 건보 적용 등 필요
김응주 교수는 ’심부전에 대한 인식이 낮아 질병이 악화한 뒤 병원을 찾는 환자가 적지 않다“며 정부의 제도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프리랜서 김동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환자가 심부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A : 심부전이라는 병에 대한 인식이 낮다. 초기 심부전은 약물치료로 증상이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겉으로 보이지 않아서 자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 환자는 증상을 조절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5~6가지의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병에 대한 인식이 낮으니 심부전 증상을 노화로 착각해 상태가 악화하고 나서야 병원을 찾는 경우도 적잖다. 또 고령 환자가 많아 기존의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게 쉽지 않다.
Q : 환자가 오해하는 잘못된 생활습관이 있나.
A : 심부전 환자의 경우 물을 무조건 많이 마신다고 좋은 게 아니다. 짜게 먹고 수분 섭취량이 과하면 심장이 처리하지 못한 혈액·수액량이 넘쳐 폐·전신이 붓고 숨이 찬다. 심부전 환자는 운동을 하면 심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일주일에 150분 정도 운동한 사람은 같은 기간 동안 운동을 거의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부전의 진행 위험이 30% 낮았다는 연구가 지난 5월 미국심장학회의 ‘순환기저널’에 실렸다. 평균 연령 60세인 1만1351명을 대상으로 6년간 운동 습관 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다.
심부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해외에서의 심부전 지원 사례는.
A : 심부전 환자는 스스로 약을 조절하는 셀프케어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병원에서는 기본 이뇨제와 여분의 이뇨제를 처방한다. 환자 스스로 매일 체중을 재고, 추가 이뇨제를 먹어야 할 만큼 몸이 부었으면 이뇨제를 더 복용해야 한다. 그러면 심부전 증상이 갑자기 악화하는 속도를 늦추고 입원 횟수를 줄여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해외에서는 환자가 이 같은 셀프케어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교육하는 심부전 전문 간호사가 있다. 환자가 생활습관을 제대로 교정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증상이 악화했을 때 빨리 인지해 병원에 올 수 있도록 교육한다. 정부는 이를 의료 수가로 인정해준다. 일례로 호주는 2년간 2회 이상 입원하거나 1년간 2회 이상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전 클리닉과 재활 과정, 임상 간호 상담사의 전문 간호 등을 무상으로 지원한다. 국내에서도 일부 종합병원에 심부전 환자를 집중 관리하고 교육하는 프로그램과 전문 간호사가 있다. 하지만 이런 클리닉에 의료 수가는 지원되지 않는다.
Q :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A : 심부전은 여러 심장 질환 중 유병률이 높아지는 몇 안 되는 질환이다. 심근경색·부정맥·판막 질환 같은 여러 심장 질환을 치료하더라도 심장은 손상을 입기 때문에 결국 심부전으로 악화한다. 또 심부전은 의료비용 증가세가 가파르고 폐암을 제외한 다른 암들보다 사망률이 높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의료비를 절감하고 병 진행을 늦출 수 있다.
Q : 국내 심부전 환자에게 필요한 지원은.
A : 심부전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일반 국민과 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 해외처럼 심부전 전문 간호사의 역할을 인정해주는 것도 사망률·입원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심부전은 초기에 진단받을수록 치료 결과가 좋기 때문에 심부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혈액검사 스크리닝을 국가건강검진에 포함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 협심증·심근경색 같은 관상동맥(심장으로 가는 혈관) 질환과 심장근육 질환, 고혈압, 심장판막 질환 환자가 고위험군이다. 심부전 환자 중 약물·기구 치료로 힘든 환자는 심장 이식을 해야 하는데 공여자가 적다. 그럴 땐 인공심장에 가까운 보조 펌프 장치인 좌심실 보조기를 삽입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데 비용이 2억~3억원이다. 여기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것도 논의가 필요하다.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