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생생건강 365] 통증없어 더 무서운 ‘임플란트 주위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임플란트도 자연치아의 치주질환처럼 세균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임플란트 10개 중 하나, 환자 5명 중 1명 꼴로 나타나는 추세입니다.

임플란트 염증은 자연치아와 유사합니다. 다만 임플란트를 심은 부위는 신경이 없어 통증을 못 느끼기 때문에 증상을 쉽게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잇몸이 붓거나 양치질 시 피가 나고 색이 붉어지며, 심하면 고름이 나오면 염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음식물로 인한 치태가 쌓여 발생합니다. 임플란트와 자연치아 사이에 쌓인 치태는 치석으로 변하고 잇몸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적 여유를 만듭니다. 특히 임플란트를 심은 사람은 일반인 보다 잇몸과 치아 사이의 틈이 커서 치은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평소 치아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합니다.

임플란트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치주조직을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치간칫솔, 치실, Ultra Soft 칫솔, 구강세정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가정에서 직접 잇몸 안쪽까지 관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권합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과 받지 않는 것을 비교하면 후자의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률이 약 2.5배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양치질 시 출혈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반드시 치과를 방문해야 합니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최악의 경우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도움말: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 배아란 교수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