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단체의 대표격인 ‘5·18구속부상자회’가 집행부의 횡령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회장 퇴진운동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다.
5·18구속부상자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관계자는 2일 “법원에 양희승 회장에 대한 직무정지가처분 신청을 내기로 회원들이 결의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양 회장이 2006년 8월 취임한 후 12년 장기집권을 하면서 각종 비리를 키워왔다고 강조하며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비대위는 전날에도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월29일과 지난달 21일 열린 이사회·임시총회에서 양 회장에 대한 불신임안이 가결됐지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비대위가 밝힌 비리·횡령 의혹 사례는 구체적이다.
비대위는 또 “구속부상자회 자녀들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을 특정인에게 지급하고 되돌려받은 의혹도 있다”면서 “장학금 150만원을 줄테니 그중 절반인 75만원을 본회로 반환하라는 내용으로 장학금을 주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21일 5·18기념재단 민주홀에서 회원 276명이 참석한 총회에서 양 회장 신임여부를 물으려 했으나 집행부측 회원 100여명이 투표용지를 들고 회의장을 나가버렸다. 이에 비대위측 회원 171명이 양 회장 불신임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는 파행을 겪었다.
앞서 3월29일 열린 이사회에서도 양 회장에 대한 불신안이 통과됐다. 이에 비대위는 4월27일에는 양 회장을 횡령 등 혐의로 광주경찰청 고소하기도 했다.
이에 양 회장 측은 “현 집행부에 대한 불신임안은 정당성과 적법성이 떨어지고, 지난 3월 이사회 불신임안도 결함이 있다는 감사결과가 나왔다”고 반박하며 비대위에 맞서고 있다.
<배명재 기자 ninaplus@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 [인기 무료만화 보기]
▶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