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자영업자 유급병가제 시작···어린이집 교직원 3천400명 채용
따릉이 3만대 시대 열고 시내버스에 무료 와이파이 도입
서울시가 총 3조6,742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
서울시는 16일 재정을 풀어 자영업자를 지원하고, 틈새 보육 문제를 해결하는 등 시민 삶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해결하겠다며 추경예산안을 발표했다. 올 한해 서울시 예산(31조9,163억원)의 11.5%로, 역대 최대 규모다. 재원은 지방채를 발행하지 않고 작년 한 해 동안 세금을 쓰고 남은(세계잉여금) 2조6,000억원과 국고보조금 및 지방교부세 1,000억원, 공정 지연 사업에 대한 감액분 943억원, 기타 수입 및 일반회계 전입금 8,000억원을 활용한다.
서울시는 추경예산을 활용해 우선 박원순 서울시장의 3선 공약인 ‘자영업자 3종 세트’ 완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신용카드사의 결제망을 거치지 않도록 해 자영업자들이 내야 하는 수수료를 ‘제로(0)’로 만든 소상공인 결제 플랫폼 구축에 30억원을 투입한다.
내년부터는 아파도 병원에 가기 어려운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유급병가 제도를 도입한다. 질병·부상으로 입원한 노동자와 자영업자 1,400명에게 하루 7만3,688원꼴의 생활임금을 지원한다. 추경예산으로 이를 위한 전산 시스템을 만든다.
차량 중심 도시에서 ‘걷는 도시’로의 전환과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교통수단 확대도 이번 추경의 키워드다. 여기에 1,000억원가량을 투자한다. 서울시는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5,000 대 추가 구입해 내년 말까지 따릉이 3만대 시대를 연다. 이와 함께 전기 따릉이 1,000대를 도입해 일반 자전거 이용이 어려운 구릉지에 배치한다. 대표적인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꼽히는 수소차 확보에 18억원, 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확대에도 182억원을 투자한다.
박 시장이 핵심 과제로 꼽는 공공 책임 보육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맞벌이 부부의 출퇴근 전후 틈새 보육을 메워 줄 ‘우리동네 키움센터’에 11억원을 투입한다. 현재 4개 구에서 운영 중인 키움센터는 올해 안에 서울 25개구 전역으로 확대한다. 223억원을 투자해 어린이집 교직원 3,398명(보육교사 1,352명, 대체·보조교사 2,046명)을 신규 채용한다.
복지·주거 안전망 구축에는 1,465억원을 투입한다. 부양능력은 있지만 부양 의사가 없는 가족을 둬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7만6,000여가구에 10월부터 주거급여를 지원한다. 여기에 192억원이 든다. 은평장애인복지관, 성북노인복지관을 신축하고 모든 노인복지관에 화재 예방을 위한 소방 시설을 보강한다. 재개발 아파트 내 임대주택 매입 예산으로는 748억원을 추가 배정했다.
서울 시내버스 270대에선 무료 와이파이를 시범 운영한다. 서울시는 2021년까지 모든 시내버스(7,400여대)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노후·불량 하수관로와 어린이 보호구역을 정비하는 등 노후 시설 개선 사업에 1,039억원, 도로·문화·체육시설 조기 완공에는 1,693억원을 편성했다.
서울시는 동부간선도로 확장공사에 추경예산 583억원을 써 준공 기한을 2021년에서 2020년으로 앞당길 예정이다. 2021년 완공 예정인 서부간선 지하도로 건설에 200억원, 서울제물포터널 건설에 100억원을 편성했다.
체육시설이 부족한 강북권(금천·도봉·서대문)에는 2020년까지 다목적체육센터를 짓는다.
이외에도 양재 R&CD 혁신지구 육성, 스마트시티 조성 등 서울의 미래 성장 동력 사업에 624억원을 편성했다.
자치구에 대한 추경재원 교부(6,117억원)와 교육청 전출(4,013억원) 및 채권 상환을 위한 감채기금 적립(6,820억원) 등에는 2조4,444억원을 쓴다.
서울시가 발표한 추경예산안은 서울시의회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강태웅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추경예산안이 다음 달 시의회에서 의결되면 10월 중 조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