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아동학대 피해와 대책

아동학대 잡아내는 CCTV…정작 부모엔 '열람 거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2015년부터 모든 어린이집은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아동학대를 예방한다는 취지였죠. 그런데 학부모들이 이 CCTV를 열어보자고 요구해도 거절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실제 열어보는 것은 대부분 원장이었습니다.

강신후 기자입니다.



[기자]

머리채를 잡아당기고, 바닥에 내팽개치고, 질질 끕니다.

교사가 아이에게 밥을 먹이는 장면이라고 믿기 어려운 모습이 CCTV에 고스란히 잡혔습니다.

그런데 학부모들이 이 CCTV를 열어보는 것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부모가 열람 신청을 해도 결정권을 가진 원장이 버티면 그만이기 때문입니다.

[어린이집 학부모 (원장이 CCTV 열람 거부한 사례) : 보고 싶다고 하니 지금 우리를 의심하는 거냐? 경찰 데리고 와야 볼 수 있다고 해요. 애를 여기 안 보낼 거면 상관이 없는데]

학대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경찰을 찾아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로 올 상반기 전국 어린이집에서 CCTV 열람한 사례는 25만여 건이었는데 아동학대 확인 목적은 3,300여 건, 1.3%에 불과합니다.

반면 80%가 넘는 20만6000여 건은 원장이 열어본 경우였습니다.

이유는 어린이집 관리로 돼 있습니다.

어린이집 교사들은 원장이 CCTV 촬영분을 보며 교사에게 질책하는 경우가 잦다고 호소합니다.

[남인순/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 :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었다면 열람에 대한 매뉴얼을 분명하게 정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법 취지대로 학부모들의 CCTV 열람권을 강화하고, 명확한 열람 사유를 남기도록 제도 보완이 필요합니다.

(영상디자인 : 이정회)

강신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