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중소병원 문 닫으면 지역 주민이 숙련된 치료 받을 기회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뷰] 대한지역병원협의회 이상운 공동회장

환자·인력 대형병원 쏠림 가속

지난해 중소병원만 48개 감소

현행 의료전달체계 개선 시급

중앙일보

이상운 대한지역병원협의회 공동회장


중소병원은 우리나라 의료의 ‘허리’다. 2차 의료기관으로서 지역 사회에 뿌리 내려 전문적인 진료·수술·입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소병원의 생존 문제가 국민의 건강권과 직결되는 이유다. 최근 중소병원은 위기를 맞고 있다. 병원에서 일할 의료 인력은 부족하고 환자는 대형병원으로 쏠린다. 지난 9일 지역 중소병원장들이 대한지역병원협의회를 창립하고 중소병원 살리기에 나섰다. 이상운(사진) 공동회장에게 창립 취지와 향후 계획을 물었다.

-협의회의 창립 배경은.

“전국에 300 병상 미만의 중소병원이 약 1600개다. 지난해 의원과 종합병원의 수는 늘거나 유지됐지만 중소병원은 48개 줄었다. 새로 생긴 병원보다 없어진 병원이 많은 건 처음이다. 중소병원이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 자립할 수 있는 근간을 세워야 한다는 뜻을 모아 협의회를 창립했다.”

-지역 중소병원이 처한 의료 환경은 어떤가.

“3차 의료기관의 환자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진다. 그러다 보니 의료 인력도 큰 병원에 집중된다. 간호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방에는 법정 간호 인력 기준에 미달하는 곳이 수두룩하다. 여기에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 구급차 의무 배치 등 병원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정책이 더해져 운영난에 시달린다. 중소병원의 존폐를 위협하는 저수가 정책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가장 시급히 해결할 문제는 뭔가.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는 게 급선무다. 우리나라는 전문의가 1차 의료에 배치돼 있는 특수한 구조다. 1차 의료에서부터 고급 의료의 혜택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3차 의료기관에 환자가 쏠리는 건 낭비다. 2차 의료기관에서도 충분히 숙련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3차 의료기관은 고난도·중증 환자 진료와 교육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뤄져야 한다. 간호등급제 역시 현장과 동떨어져 있다. 국내 의료기관의 전체 병상 수를 고려하면 간호사가 약 20만 명이 필요한데 실제 간호사는 10만여 명뿐이다. 애초에 병상당 간호 인력 비율을 맞출 수 없는 구조다. 간호등급제의 개선이 절실하다.”

-중소병원이 살아나면 국민은 어떤 혜택을 받나.

“의료의 질은 경험이 좌우한다. 1600개 중소병원 의사의 상당수가 대학에서 근무를 했고 충분한 의료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수십 년간 대학교수로 지내던 의사도 개원하면 일반의(GP)로 인식되는 게 현실이다. 지금껏 국민은 지역 사회에서 숙련된 치료를 큰 부담 없이 누렸다. 지금의 의료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고급 의료의 접근성이 점점 떨어질 것이다. 국민의 건강권 보호 측면에서 큰 손해다.”

-향후 계획이 있다면.

“중소병원이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만 정책·제도 면에서 소외됐다. 의견을 개진할 창구조차 없는 현실에 참담함을 느낀다. 앞으로 의사협회·병원협회 등과 협력해 의료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힘쓸 것이다. 지역 중소병원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아 실질적인 정책 개선이 이뤄지도록 정부에 주문할 계획이다.”

김선영 기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