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日여당 외교위 징용판결 성토…"韓, 국가의 몸 못 갖춰" 망언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카소네 전 외무상, 막말…"한국에 일본 기업 투자 줄어들 것"

日정치권, 여야간 온도차 있지만 대체로 판결 내용 비판

연합뉴스


나카소네 히로후미(中曾根弘文) 전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일본 여당 자민당이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다음날인 31일 의원 회의를 열고 판결내용에 대해 성토했다.

NHK와 교도통신에 따르면 자민당은 이날 도쿄(東京) 당본부에서 외교 부회(위원회) 소속 의원 등이 참석한 회의를 개최하고 한국 대법원이 전날 일본 기업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에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린 것과 관련해 대응책을 논의했다.

NHK 등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대부분 "있을 수 없는 판결"이라며 판결에 강하게 비판하면서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강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참석자들의 입에서는 판결 내용을 두고 '한국이 국가 몸(체제)을 갖추지 않았다'는 막말이 나오기도 했다.

나카소네 히로후미(中曾根弘文) 전 외무상은 "징용을 둘러싼 문제는 한일청구권협정에서 완전하게 해소된 것으로 돼 있다"며 "이것을 뒤엎는 것은 국제 상식에서 있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한국은 국가의 몸을 갖추지 않아 한국에 투자하는 기업이 적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박수받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 이춘식 할아버지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일제 강제징용 피해 생존자인 이춘식 할아버지가 강제징용 손해배상청구 소송 재상고심 판결을 위한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열린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중 박수를 받고 있다. 2018.10.30 kane@yna.co.kr (끝)



NHK는 회의 참석자들 사이에서 "(일본)정부가 기업의 재산을 지켜야 한다", "(일본)정부뿐 아니라 자민당 차원에서도 대응책을 내야 한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참석자들은 '한일간 외교 협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면 한일청구권협정에 기초해 중재위원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결의문을 조만간 내기로 했다.

여야간 온도차가 있긴 하지만 일본 정치인들은 대체로 한국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자민당의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총무회장은 "한일 우호협력 관계의 법적 기반을 근본적으로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사이토 데쓰오(齊藤鐵夫) 간사장은 "대단히 유감이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의 나가스마 아키라(長妻昭代) 대표대행은 "유감이다. 의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고, 다른 야당인 국민민주당의 다마키 유이치로(玉木雄一郞) 대표는 "항의할 것은 항의하되 다양한 과제에서 협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사민당의 마다이치 세이지(又市征治) 당수는 "한국 국민의 불만은 중시할 필요가 있다"고 신중론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징용피해자 배상판결에 日 강력 반발…"매우 유감, 수용못해"
(도쿄 AFP/지지통신=연합뉴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가운데)이 30일(현지시간) 한국 대법원이 일본 기업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린 것과 관련, 도쿄 외무성에 이수훈 주일 한국대사를 불러 항의한 후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leekm@yna.co.kr (끝)



bkk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