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종교적·양심적 병역거부' 인정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체복무 '36개월 교정시설 복무' 유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 기간이 36개월로 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합숙근무가 가능한 교도소가 복무기관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국방부는 14일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대체복무제 도입방안 검토’ 자료를 통해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 기간으로 36개월(1안)과 27개월(2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 당국자는 “27개월 안보다는 36개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복무기관으로는 교정시설(교도소)로 단일화하는 안과 교정시설과 소방서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국방부는 36개월 안을 두고 “산업기능요원과 공중보건의사 등 다른 대체복무자(복무기간 34~36개월)와 형평성을 유지하고 (양심적 병역거부가)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복무)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36개월 복무는 현행 21개월에서 2021년 말까지 18개월로 단축되는 육군 병사 복무기간의 2배다. 대체복무는 2020년 1월부터 시행된다.

27개월 안을 놓고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는 대체복무 기간이 현역의 1.5배 이상일 경우 징벌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본다”며 검토 이유를 설명했다. 27개월은 18개월로 단축되는 육군 병사 복무기간의 1.5배다.

국방부 당국자는 “복무기관을 교정시설로 단일화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교정시설로 단일화하는 방안에 대해 “현재 의무소방원이 비교적 자유로운 근무환경이고 차후 소방관 선발 때 유리한 점 등의 사유로 군 복무에 비해 선호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군 복무 환경과 가장 유사한 교정시설로 단일화하되, 제도 정착 이후 복무기관 및 분야를 확장하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 중 대체복무 대상자를 판정하는 심사위원회는 국방부 소속으로 설치하는 방안(1안)과 복무분야 소관부처 소속으로 두는 방안(1안)이 검토대상이다. 심사위원회를 국방부 소속으로 설치하되,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