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은행권 이익 늘면서 자본비율도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은행권이 순이익이 증가하면서 은행권 자본비율이 소폭 올랐다. 하지만 적자가 이어진 인터넷은행의 자본비율은 하락했다.

6일 금융감독원의 '9월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9월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55%로 지난 6월말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단순기본자본비율(6.69%)도 0.07%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기본자본비율(13.42%)과 보통주 자본비율(12.84%)은 각각 0.0001%포인트, 0.0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위험가중자산은 총 위험 노출액이 23조8000억원 늘어난 영향으로 26조4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씨티(17.72%), 경남(16.58%)의 총자본비율이 높은 편이었고, 케이뱅크(11.32%)와 수출입(13.76%)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인터넷은행의 총자본비율(15.04%)은 3개월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케이뱅크(11.32%)는 지난 7월 3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 덕분에 0.62%포인트 올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카카오뱅크(15.67%)는 2분기 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 덕분에 15%대를 유지했지만, 적자가 이어지면서 3개월 전보다는 1.19%포인트 떨어졌다.

은행을 자회사로 둔 은행지주회사의 총자본비율은 14.48%로 3개월 전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기본자본비율(13.17%)과 단순기본자본비율(5.93%)도 각각 0.04%포인트, 0.07%포인트 올랐지만 보통주 자본비율(12.52%)은 0.04%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지주사들의 총자본비율은 바젤Ⅲ 규제 비율은 물론 미국 은행들의 평균치(14.4%)보다도 높다"면서도 "미래의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내부 유보 등 적정 수준의 자본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