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靑 "징후 없고 재촉 의사 없다"…김정은 연내 답방 '안갯속'(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고민 깊어진 듯"…北, 의제·경호·대미관계 등 실익 두고 고민 길어지나

일부에선 '내년 초 說' 나와…'북미회담 前 성사'로 초점 바뀔까

"이미 연내 답방 물밑 조율 됐을 것" 추측도 제기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일정이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답방 일정에 대한 북측의 입장표명이 지연되면서, 현재로서는 논의가 진척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여전히 김 위원장이 연내에 서울을 찾을 것이라는 전제 아래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진전 없이 시간이 더 흐를 경우 김 위원장이 연내가 아닌 내년 초에 답방할 가능성도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연합뉴스

악수하는 남북정상 미술작품 설치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사랑채 부근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악수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 설치돼 눈길을 끌고 있다. 2018.12.7 photo@yna.co.kr (끝)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까지 진척된 상황이 없고 발표할 것도 없다. 별다른 징후가 없다"고 설명했고, 북한의 선발대가 서울을 찾았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동안 청와대 내에서는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결심할 경우, 휴일인 이날까지는 북한이 한국 정부에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여기에는 연말에는 김 위원장의 내년 신년사 준비나 김 위원장의 조모인 김정숙의 생일(24일) 등 북한 내부 일정을 고려할 때, 답방 시기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기일인 17일에서 24일 사이가 유력하다는 예측이 전제돼 있다.

청와대 "김정은 답방, 별다른 징후도 없어" / 연합뉴스 (Yonhapnews)


한국 정부의 경호 등 실무준비를 위해 열흘은 필요하다는 점에서, 북한이 연내 답방을 결심할 경우 통보 시기를 더 미루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9일 현재까지 북측에서 연락이 없자 자연스레 내년 초 답방 가능성이 거론되기 시작한 것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현안점검회의 이후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에서 "서울 정상회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해왔지만, 현재로선 확정된 사실이 없다"며 "서울 방문은 여러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적으로 정리된 입장으로 보이나, 북한으로부터 연내 답방이 어렵다는 답신을 받은 게 그 배경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지금까지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기대하며 북한의 답변만을 기다려왔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껏 연내 답방을 사실상 재촉하는 것으로 비쳤던 청와대 스탠스가 북한에 부담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보고 '서두르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북한으로부터 아직 답신을 받지 않았다고 전제하면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상황이 복잡해지고 북한의 고민이 좀 깊어진 듯하다"고 말했다.

북한 최고 지도자의 사상 초유의 서울 방문으로 인한 경호·안전 문제와 남측 여론 등에 대한 고심은 물론 북미 간 2차 정상회담과 고위급회담 등 외부요인에 따라 북한이 아직 전략적인 판단을 못 내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하지만 여전히 연내 답방 성사에 무게를 싣는 관측도 많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북측의 통보 시점에 대한 마지노선이 있느냐'는 물음에 "그런 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언제든 김 위원장이 결심해 한국에 통보를 하면 이후 일사천리로 일정조율이나 경호·의전 준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설령 12월 중순 후에 북측의 결정이 이뤄지더라도 연내 정상회담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만약 김 위원장이 온다는 결정이 갑자기 이뤄지면 프레스센터 없이 (정상회담 일정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도 했다.

바꿔 말하면 준비 기간이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거기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김 위원장과 북측의 명확한 의사표시가 나오기 전에는 구체적인 답방 시기를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셈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한라산 갈까?…연내답방 가능성에 관심고조(CG)
[연합뉴스TV 제공]



연내 답방이 유력하다고 예측하는 쪽에서는 '13일 답방설', '18~20일 답방설'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계속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일부는 남북이 이미 물밑에서 김 위원장의 구체적 답방 일정에 공감대를 이뤄놓고도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발표만 미루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하고 있다.

미리 세부 일정을 다 맞춰두고 답방 전날이나 2∼3일 전에 '깜짝 발표'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고위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동선이야 얘기 못 하겠지만 '온다·안 온다'는 것 자체를 어떻게 얘기 안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만일 김 위원장의 방문 시기가 올해가 아닌 내년이 될 경우 내년 1∼2월로 예고된 북미정상회담 전이 될지, 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로서는 남북정상회담을 먼저 하고 그 이후 북미정상회담, 남북미정상회담을 차례로 하는 로드맵을 구상할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북미 대화를 통해 제재 문제에 진전이 이뤄질 경우 남북정상회담에서의 경제협력 등 의제가 한층 풍성해질 수 있는 만큼 '선 북미정상회담 - 후 남북정상회담'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hysup@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