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언제 석탄 치우라 할지 몰라…태안화력 김씨 가방에도 컵라면 3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공공운수노조는 운송설비점검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김용균(24)씨의 유품을 15일 공개했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새벽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운송설비점검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숨진 김용균(24)씨의 유품이 공개됐다. 유품에 그가 작업 중 늘 끓여 먹었다던 컵라면이 나와 주변을 안타깝게 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은 13일 유가족이 함께 나선 현장조사를 통해 확보한 김씨의 유품을 15일 공개했다.

중앙일보

공공운수노조는 이달 11일 새벽 충남 태안군 원북면 태안화력 9·10호기에서 운송설비점검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고(故)김용균(24)씨의 유품을 15일 공개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업장에서 나온 김씨의 유품으로는 지시사항을 적어둔 것으로 보이는 수첩, 물티슈, 우산 등이 있었다. 수첩과 슬리퍼 등에는 곳곳에 탄가루가 묻어 있었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작업장에서 나온 김씨의 유품으로는 사비로 산 손전등과 건전지, 부족한 식사 시간 탓에 늘 끼고 살던 라면과 과자, 김씨의 작업복 등이 포함됐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김씨의 유품에는 고장 난 손전등과 사비로 산 건전지 등이 들어 있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공공운수노조는 유가족과 함께 13일 사고현장 조사에 나서 해당 유품을 확보했다. 작업장에서 나온 김 씨의 유품으로는 사비로 산 손전등과 건전지, 부족한 식사 시간 탓에 늘 끼고 살던 라면과 과자, 김씨의 작업복 등이 포함됐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장조사 당시 김씨의 어머니는 “일할 때 영상 통화하면 아들은 매번 탄 치우러 간다고 했다. 밥은 어떻게 먹었느냐”고 동료에게 물었다. 이에 동료는 “원청은 아니라고 부인하지만, (원청에서) 낙탄 치우라고 수시로 지시가 내려온다”며 “언제 지시가 내려올지 몰라 식사 시간이 없어서 매번 라면을 끓여 먹이고 그랬다”고 답했다.

김씨의 유품에는 면봉과 휴대전화 충전기, 동전, 지시사항을 적어둔 것으로 보이는 수첩, 물티슈, 우산, 샤워 도구, 속옷, 발포 비타민, 김씨의 이름이 붙은 작업복과 슬리퍼 등이 들어있었다. 수첩과 슬리퍼 등에는 곳곳에 탄가루가 묻어 있었다. 특히 종류별 컵라면 3개와 과자 1봉지, 각종 방향제, 고장 난 손전등과 건전지 등이 들어 있어 마음을 아프게 했다. 불규칙한 지시 탓에 매번 컵라면으로 끼니를 해결해야했기 때문이다.

김씨와 함께 일한 동료에 따르면 탄가루 탓에 코앞이 보이지 않을 만큼 어두운 작업장에서 김씨는 헤드 랜턴조차 지급받지 못한 채 일했다. 유품 중 하나인 손전등은 회사에서 지급한 것과는 다른, 김씨가 사비를 들여서 산 것이라고 한다.

2016년 5월 서울 지하철 구의역 스크린도어 수리 중 전동차에 치여 사망한 김모(당시 19세)군의 가방에서도 밥 대신 먹었다던 컵라면이 나와 가슴을 아프게 했다. 김군이 사망한 지 2년이 지난 올해 추모제에서도 김군에게 전하는 편지, 국화와 함께 컵라면 등이 놓였다.

중앙일보

공공운수노조는 이달 11일 새벽 충남 태안군 원북면 태안화력 9·10호기에서 운송설비점검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김용균(24)씨의 사진을 15일 공개했다. 고(故) 김용균씨가 군복을 입고 브이자를 그리며 미소짓고 있다. [사진 공공운수노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공운수노조는 이날 오후 7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2차 추모제를 열고 김용균 씨의 생전 사진과 영상을 공개했다. 김씨의 넋을 기리는 분향소도 설치됐다. 김씨의 동료들은 추모사에서 김씨를 부르며 “밥 먹을 시간도 없을 만큼 열심히 일한 용균아 미안하다. 근무 조건 개선해달라고 더 크게 말 못 한 나와 너의 동료들이 너에게 참 미안하다”고 못다 한 말을 전했다. 그러면서 “24살 꽃다운 나이에 먼저 너를 보낸다. 다음 생에는 비정규직 없는 나라, 일하기 좋은 나라에서 태어나길 바란다”고 애도했다.

이날 촛불을 들고 추모제에 참여한 시민 300여명도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하라”고 연호하면서 “책임자를 엄벌하고 사고 경위를 밝혀라”고 촉구했다. 이날 광장에는 대책위는 오는 21일 대규모 촛불집회를 열고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촉구할 예정이다.

중앙일보

이달 11일 새벽 충남 태안군 원북면 태안화력 9·10호기에서 운송설비점검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김용균(24)씨를 기리기 위한 2차 촛불 추모제가 15일 저녁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