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2019 경제정책]내년 신규취업자 15만명…'정부, 직접일자리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외불확실성·생산가능인구 감소폭 동시에 커져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정부는 내년 신규취업자를 올해보다 5만명 늘어난 15만명으로 예상했다. 지난해에는 올해 취업자가 32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일년새 전망치가 절반 이하로 쪼그라들었다.

정부는 17일 발표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서 신규취업자 예상치와 관련해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심리가 위축된데다 생산가능인구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며 경기 여건과 인구구조 변화를 취업자 증가가 어려운 원인으로 꼽았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건설투자 둔화로 인력수요가 줄어들고 제조업 역시 수출 둔화로 어려움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서비스업은 보건업과 복지업 증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나겠지만 자동화 등의 구조적 제약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매출을 뜻하는 무점포소매 판매지수 증가율은 2015년 8%에서 올해 1~10월에는 14.7%로 증가했다.

인구구조 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올해 생산가능인구 감소폭은 4만6000명에서 내년에는 6만8000명으로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 같은 현실을 감안해 일자리 예산을 확대한데 이어 현장중심 공무원 3만2000명을 증원하고 노인일자리 10만개를 확대하는 등 직접 일자리 창출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응해서는 여성인력 지원을 강화하고 55세 이상 장년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독려해 노동공급 위축을 일부 보완키로 했다.

자영업 고용 상황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정부의 판단이다.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회복돼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등 고용은 개선되지만 과당경쟁, 내수 둔화가 자영업자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고용률(15~64세)은 66.8%로 올해보다 0.1%포인트 개선되며 실업률은 같은 기간 0.1%포인트 하락한 3.8%로 내다봤다.

세종=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