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라이프 트렌드] 그날그날 내 생각을 손글씨로 … 책처럼 만드는 ‘갬성 다이어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리 펼쳐 본 새해 일기장 요즘 뉴트로(new+retro)가 대세다. 뉴트로란 옛것을 현재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 트렌드는 몇 해 전 패션·리빙 업계에서 시작해 최근 다이어리 시장에까지 스며들었다. 종이 다이어리가 다시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올해는 시집이나 소설책 같은 한글 다이어리가 많이 나왔다. 새로 나온 ‘갬성’(감성의 요즘 말) 가득한 다이어리를 소개한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모든 정보를 기록해둘 수 있는 세상이다. 하지만 직접 손으로 글씨를 써 남기는 것을 선호하는 이도 많다. 종이 위 손글씨는 실용 면에서 떨어질지 몰라도 디지털 세상에는 없는 설렘과 감성을 안겨준다. 이런 ‘갬성’이 유행하면서 요즘 서점이나 온라인 마켓에 종이 다이어리가 유난히 많이 나왔다.

다이어리의 뉴트로 트렌드는 실제 수치로도 이어졌다. 온라인 서점 예스24에서 현재 판매 중인 2019년용 종이 다이어리는 1120종에 달한다. 2015년에 비하면 3.6배나 많다. 전년보다 판매량도 1.3배가량 늘었다. 예스24의 이은혜 MD는 “개인의 시간과 감성을 추구하는 요즘 트렌드에 힘입어 종이 다이어리의 수요가 늘었다”고 말했다.

올해 가장 눈에 띄는 다이어리 디자인은 아담한 크기의 책처럼 생긴 딱딱한 하드커버 제품들이다. 표지는 과도한 장식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미니멀하게 디자인했다. 영어 사용도 최소화했다. 다이어리마다 시집을 연상케 하는 한글 제목을 새겨 넣었는데, 가령 ‘마음의 온도’ ‘깊은 시간’ 같은 식이다.

내부를 넘겨 보면 한글의 멋을 살린 서체가 눈에 띈다. 감성을 가득 담은 문구도 구석구석에 담았다. 다이어리의 색상 이름도 흰눈색, 호밀색, 하얀조개색처럼 순 우리말을 사용해 따뜻한 느낌을 더했다. 대부분은 은은한 파스텔 톤이다.

한글 멋 살린 서체, 감성 가득한 문구

시집처럼 생긴 ‘깊은 시간’ 다이어리는 1년 달력을 ‘해의 기록’, 월별 달력을 ‘달의 기록’으로 표기했다. 365일을 각각 ‘삼백쉰다섯 번째’처럼 한글로 적었다. 소설책처럼 맨 마지막 장에는 ‘맺으며 쓰는 글’의 공간을 남겨 둬 1년을 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뜻하는 ‘소확행’ 다이어리는 주간 달력마다 ‘이번 주는 행복했는지’를 묻는 문구를 넣었다. 가장 마지막에는 올해 가장 좋았던 소확행에 대해 쓸 수 있도록 했다. 한 권을 채웠으니 ‘나에게 칭찬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중앙일보

표지에 ‘감성일기장’이라고 적힌 ‘마음의 온도’ 다이어리(사진)는 일지를 쓰면서 그때그때의 마음을 기록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했다. 맨 앞 장에는 시작하는 마음과 바라는 마음을 적도록 했다. 일일 캘린더인 ‘매일의 기록’과 백지 ‘여백의 조각’처럼 생각을 차분히 써내려 갈 수 있는 페이지도 있다. ‘밤의 일기장’은 200자 원고지를 그대로 옮겨 뉴트로 느낌을 강조했다. 다이어리의 색도 새벽안개·벚꽃잎·숲길·밤빛 등으로 구성했다.

‘오늘 생각’ 다이어리는 매주 ‘이번 주 생각’과 매일 ‘오늘 생각’을 적을 수 있도록 꾸몄다. 책의 뒷부분에 원고지 모양의 페이지를 추가해 추억의 감성을 더했다. 이런 다이어리들은 대부분 손바닥보다 조금 더 커 작은 가방에 넣고 다니기에 알맞다.

글=윤혜연 기자 yoon.hyeyeon@joongang.co.kr, 사진=각 업체 제공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