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위택스 등 세무행정시스템 13년 만 전면개편.. 2022년부터 지방세 서식 자동 서비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는 2022년부터 복잡한 지방세 신고서식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서비스가 도입된다.

자치단체 공무원들에게는 수기 고지서가 사라지는 등 '종이없는' 지방세 업무환경이 제공된다. 국민 770만명이 활용하는 지방세 납부서비스 '위택스'와 2만명의 자치단체 세무공무원이 사용하는 세무행정시스템이 지난 2005년 구축 이후, 13년 만에 전면개편된다.

■2021년까지 1668억원 투입

행정안전부는 기존의 지방세시스템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전면 재구축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은 현재 자치단체별로 분산 운영 중인 지방세정보시스템을 전국 통합형 클라우드 체계로 전환해 새로운 기술을 적극 반영하자는 취지다.

행안부는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2021년까지 총 1668억 원을 투입해 현행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가동할 예정이다.

지방세정보시스템은 그동안 지방세 제도의 발전과 함께 꾸준히 기능 보강을 해왔으나, 노후화에 따른 잦은 장애로 한계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은 우선 편리한 납세의무를 돕는 납세자별.지역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납세편의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복잡한 지방세 신고서식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자동채움 서비스가 도입된다, 지역 주민에게 유용한 새로운 세정정보를 신속히 알려주는 지역별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고, 세무대리인 전용 페이지 등 납세자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전자서고로 '종이없는' 업무 환경

공무원들에게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세무행정을 위한 지능형 업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치단체 세무행정의 역량이 대폭 강화된다.

특히 단순·반복되는 수기고지서 입력은 아예 없어지고, 전자서고 구축을 통한 '종이없는' 지방세 업무환경을 제공한다. 전국적으로 통합된 지방세 정보를 바탕으로 촘촘한 과세그물망을 형성해 체납모니터링 등 첨단탈세에 대응하고, 공간정보를 활용한 입체적 세원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행안부 고규창 지방재정경제실장은 "향후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 세정업무 처리와 과학적 정책결정 지원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