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고등학생 5%만 경제 배워…총량이수제 도입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경제교육상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 다섯째부터 손정식 한양대 교수, 김성진 경제교육단체협의회 회장, 이승철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 김성우 신한은행 부행장. [사진 제공 = 경제교육단체협의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존 주입식 경제교육은 통하지 않는 시대입니다. 팩트와 실상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교육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 경제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댔다. 경제교육단체협의회가 주관하고 기획재정부가 후원하는 경제교육포럼이 지난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경제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열렸다. 경제교육단체협의회는 매일경제신문사 경제경영연구소,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KB금융공익재단 등 21개 단체가 참여한 비영리 단체다. 협의회는 최근 창립총회를 열고 활동에 돌입했다. 경제교육에 대한 수요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교육체계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보완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날 발표에 나선 오영수 경북대 사범대학 교수는 "2010년대 들어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이 쇠퇴하고 있다"면서 "경제교육을 이대로 둘 경우 학생들의 전반적인 경제지식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형준 성신여대 사회교육과 교수 역시 "우리나라는 경제교육지원법을 통해 국가의 경제교육 책무를 명시하고 있음에도 실상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경제교육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현재 중학교 사회·도덕교육 시간 510시간 중 경제수업은 21시간에 불과하다. 도덕 170시간, 역사 170시간과 비교하면 12% 수준이다. 박 교수는 "중학교 경제수업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간에다 경제 지식이 부족한 강사가 대충 교육할 개연성이 매우 크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고등학교 경제교육도 형편없기는 마찬가지다. 고등학교에서 경제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전체 고등학생 수 대비 5%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는 사회과 선택 과목 중 최하위에 해당한다. 미국 고등학생들의 사회과목 수강에서 경제를 선택한 비율이 58%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큰 차이가 난다. 국내 경제과목 이수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관련 인프라스트럭처의 질도 저하되는 '악순환'에 빠졌다. 고등학교에서 경제과목을 가르치는 교사 수는 전체 사회과 교사 수 대비 6.4%로 최하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에서도 경제과목 응시율이 계속 하락해 2019학년도 수능에는 고작 5452명만이 응시했다. 이는 사회탐구 응시자 대비 2%에 해당한다. 박 교수는 "가계부채의 증가, 채무 불이행에 따른 신용 문제로 체계적인 경제교육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지만 경제교육은 양적·질적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들은 '경제교육지원법'의 정신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과거 기획재정부와 교육부가 경제교육의 진흥을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던 전례를 참고해 정부가 다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교수는 "정규 교과에서 경제교육 시간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학생이 교내외에서 의무적으로 경제교육 시간을 이수해야 하는 경제교육 총량 이수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 역시 "경제·금융교육연구학교를 육성하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학교장들을 중심으로 연수 제도를 도입해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방안을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2018 대한민국 경제교육상' 경제부총리상은 충남 삼성고등학교와 신한은행이 받았다. 충남 삼성고는 학교 내에 실용경제 과정을 개설해 진로에 기반한 맞춤형 수업을 설계·운영하고, 경제골든벨과 경제보고서 분석 대회, 경제올림피아드 대회 등을 열어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 점이 돋보였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북한이탈주민을 포함한 청소년, 대학생, 노인, 군인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경제교육 등 2013년 이후 3300여 차례에 걸쳐 50만명 이상에게 기회를 제공했고, 청소년금융센터, 한국금융사박물관을 활용해 경제교육의 저변 확대와 질적 제고에 기여했다고 기재부는 평가했다.

[강영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