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김태우 “다른 반원도 민간 보고서” 박형철 “일방적 주장일 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 “이인걸, 내 휴대폰 달라더니

텔레그램 대화 내용 지웠다”

박 “명예 걸고 법·원칙 따라 일해

허위 주장 정치적 이용 말아야”

중앙일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오른쪽)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청와대 특별감찰반 정권 실세 사찰 보고 묵살 및 불법 사찰 의혹 진상조사단’ 회의에 참석해 김도읍 조사단장과 이야기하고 있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청와대가 민간인 사찰을 했고, 이 정권 실세들의 비리는 묵살했다는 게 명백히 드러났다“고 말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우 전 청와대 특감반원(검찰 수사관)은 20일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내 첩보 보고서에 대한 청와대의 해명은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말했다. 전날 오후 청와대가 김 수사관의 첩보 목록에 대해 반박한 내용에 재반박한 것이다. 청와대는 김 수사관의 첩보 목록은 본인만 가지고 있었던 것도 포함돼 있고, 직무와 무관한 것은 폐기했으며 일부 첩보는 상부에 보고가 안 됐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김 수사관은 “죄 없는 날 잡아가도 내 폭로가 팩트이기에 반드시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첩보 범위에 벗어난 동향 파악은 청와대에서 나만 한 게 아니다”고도 했다.

다음은 김 수사관과 나눈 주요 일문일답.



Q : 자유한국당에서 김태우 수사관의 첩보 조사 목록을 공개했다.



A : “내가 준 게 아니다. 난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언론에만 제공했다.”




Q : 야당에선 기업·언론인·정치인·교수까지 동향 조사를 했다고 주장한다. 자발적으로 한 건가.



A : “청와대 특별감찰반 업무 프로세스는 텔레그램(SNS의 일종)으로 시작한다. 동료(8명)가 있고 위에 우리를 지휘하는 데스크(사무관)와 이인걸 특별감찰반장이 있다. 공개된 첩보 문건은 이들에게 텔레그램 등으로 ‘오케이’ 사인을 받고 쓴 것이다. 대체로 외부에서 밥 먹다, 차 마시다가 들은 얘기를 텔레그램으로 보고하면 ‘보고서 써봐’라는 지시가 내려오는 식이었다.”




Q : 청와대 상관의 지시가 텔레그램에 남아 있겠다.



A : “11월 초 내가 청와대 감찰을 받기 전 이인걸 특감반장이 내게 ‘휴대전화를 좀 달라’고 하더니 자신과 개인적으로 나눈 텔레그램을 지워버렸다. 당했다.”




Q : 민간인 사찰 논란이 되고 있는 첩보는 김 수사관만 생산한 건가.



A : “나 말고 다른 특감반원도 우리 대상이 아닌 것을 청와대 첩보 양식에 맞춰 많이 썼다. 주로 제보자에게서 들은 민간인 동향 보고 같은 것이었다.”




Q : 민간인 첩보는 왜 만들었나.



A : “내가 좋아하지도 않는 것을 왜 썼겠나. 다 윗선의 허락이나 선(先) 보고 후에 쓴 것이다. 일부는 먼저 알아보라고 지시가 내려온 것도 있다.”




Q : 코리아나 호텔 사장 배우자 자살 관련 동향 보고를 해서 청와대가 질책을 했다는데.



A : “새빨간 거짓말이다. 정확히 기억이 난다. 특감반 사무관이 내게 지시한 것이다.”




Q : 언론 관련 첩보는 청와대에서 “언론 사찰 소지 있으니 작성하지 말라”고 했다는데.



A : “그것도 거짓말이다. 한 번도 그런 적 없다. 그렇게 혼났으면 15개월간 청와대에서 비슷한 첩보를 계속 올릴 수 있었겠나.”




Q : 대학교수 동향 보고는 민간인 사찰 아닌가. 청와대는 보고도 못 받았다는데.



A : “아니다. 이인걸 특감반장에게 확실히 보고했다.”


청와대의 대응과 현재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대한 생각도 물었다. 청와대는 전날(19일) 김 수사관을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Q : 청와대에선 김 수사관을 “궁지에 몰린 미꾸라지”라고 표현했다.



A : “미관말직인 내 주장에 당황하는 것이다. 이건 팩트의 힘이다. 내 주장이 거짓이면 그렇게 흥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Q : 청와대에서 고발했다.



A : “혐의가 공무상 기밀누설이라고 한다. 웃긴 게 이건 바로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다. 지난해 7월 청와대에서 박근혜 청와대의 캐비닛 문건을 공개하면서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알린다’고 했다. 나야말로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알린 것이다.”




Q : 검찰이 사실 규명을 할 수 있을까.



A : “내가 잘못이 없는데 잡혀간다면 반드시 부작용이 날 것이다. 청와대는 계속된 거짓말로 외통수로 가고 있다. 자신들이 내 보고를 안 받았다고 하면 내 정보는 불순물로 청와대 기밀이 아니다. 반대로 보고를 받았으면 불법 사찰을 알고도 방치한 꼴이 된다.”


전날 청와대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은 공식 브리핑을 통해 “제 명예를 걸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업무를 수행해 왔다”며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 주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인걸 특검반장도 “박 비서관과 같은 입장으로 보면 된다”고 했다.

현일훈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네이버에서 '중앙일보' 구독 후 안마의자 받자!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