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4 (목)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종목이슈] 에어부산, 갑질 논란에 불안한 주가...향방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코스피 새내기주 에어부산이 상장 사흘만에 대표이사 갑질 논란에 휩싸이며 악재에 노출됐다. 증권가에선 이번 논란이 주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이번 갑질 논란과 무관하게 상장 이틀 폭등한 주가는 당분간 우상향하긴 어려울 것으로 봤다.

이번 논란은 지난달 31일 직장인 익명 게시판 블라인드에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 에어부산의 한태근 대표이사가 승무원을 상대로 갑질을 했다는 글이 쏟아지며 확산됐다. 게시글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중국 싼야~부산행 항공기에서 한 승객은 승무원에게 “한태근 사장의 친구”라고 밝히면서, 돈을 지불하지 않은 채로 유료좌석에 앉길 요구했다.

승무원은 항공규정에 따라 매뉴얼을 설명하고,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조치했다. 다음 날 지인의 전화를 받은 한 대표는 해당 항공편 객실팀장과 승무원을 불러 질책했고, 경위서 작성을 지시했다. 또 과장진급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이와 관련 한 대표는 한 방송사를 통해 “친구가 다리가 불편해 자리를 바꿔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들었다”면서 “양쪽의 입장을 충분히 듣기 위해 경위서 작성을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한 대표 해명 이후 블라인드에 “다리 불편하지 않았고, 골프 단체 손님이었다”는 반박 글이 올라오는 등 사태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뉴스핌

[사진=블라인드 게시글]


다만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을 두고 에어부산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면서도 에어부산이 경쟁사 LCC에 비해 펀더멘탈이 약해 최근 급등세는 멈출 것으로 봤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어부산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0.49% 내린 60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에어부산의 공모가는 기관투자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며 최하단 3600원으로 결정됐다. 상장 첫날인 지난달 27일 시초가 4020원 대비 29.85% 오른 5220원, 28일에는 16.67% 상승한 609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3거래일 연속 기관투자자는 총 128억원 팔았고, 개인투자자들은 335억원 순매수했다.

A증권사 항공사 담당 연구원은 “이런 사건이 터져도 불매운동까지는 잘 이어지지 않는 편”이라면서 “특히 한진그룹처럼 오너 일가나 임원이 직접 행위를 한 게 아니라 지인이 갑질을 한 것이어서 주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사안은 아닌 것 같다”고 해석했다.

다만 “밸류에이션 자체는 싸게 평가됐고 이미 공모가 대비 60% 이상 오른 상태지만 경쟁사 LCC 대비 과도하다”며 “아시아나항공 자회사로 인천기반 에어서울이 이미 있고, 부산 베이스로만 운항하기엔 성장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일부 기관투자자들이 공모가가 최하단으로 확정돼서 투자를 했지만 이미 3거래일 연속 시세차익을 노리고 던지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의 ‘운수권 신규 배분 제한’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린다. 지난해 11월 국토부는 항공사 임원이 관세포탈, 밀수출입 범죄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경우 최대 2년간 운수권 신규 배분 신청자격을 박탈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항공산업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일례로 진에어는 신규 항공기 도입부터 신규 노선 배정 등 제재를 받고, 성장 동력이 멈춘 상태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달 진행한 IPO에서 “에어부산은 부산발 국제선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국가간 경쟁력 차원에서도 정부에서 부산 출발 싱가포르 정기 운수권을 에어부산에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며, 김해-싱가포르 운수권 확보에 자신감을 보였었다. 또한 신규 항공기 ‘737 MAX 8’을 도입해 중장거리 노선 확대를 통한 신성장동력 마련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진에어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주시하고 있던 한진그룹 사건과 맞물리면서 강력 제재를 받았지만, 에어부산의 사안은 운수권 제한까지 이어지진 않을 것 같다”면서 “김해에서 싱가포르까지 갈 수 있는 LCC가 많지 않고, 국내 유일한 부산 거점 항공사이기 때문에 운수권은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에 반해 B증권사 항공담당 연구원은 “최근 국토부 스탠스를 보면 갑질 이슈를 예민하게 받아들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운수권 박탈까진 아니라도 주 4회 노선을 확보할 수 있었다면, 주 2회 정도로 줄이는 제재 정도를 예상해볼 수도 있다. 제주항공, 티웨이항공도 눈독을 들이고 있어 독점적으로 확보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urim@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