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지검에 보낸 판단 근거 사례에 게임 포함
군인권센터 “제주지검 검사 인권위 제소 방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검찰이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한 이른바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쏘기 게임’ 접속 여부를 확인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제주지검 관계자는 “대검에서 10가지 판단 요소를 제시해 확인 중이다. 대검 판단 요소에도 신도 증명서나 봉사 활동 내역서 등이 예시돼 있는데, 이번 슈팅 게임도 예시 가운데 하나다. 국내 게임업체 몇 군데를 선정해 법원에 사실 조회 신청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검찰청은 지난해 12월3일 전국 각 검찰청에 병역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의 주장이 정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법원 판결이 제시한 10가지 판단 요소를 참고해 신념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대법원이 제시한 판단요소 가운데 ‘피고인의 가정환경, 성장과장, 학교생활, 사회경험 등 전반적인 삶의 모습’과 관련해 1심 판결 분석 결과 확인된 게임사이트 가입내역을 예시했다.
이에 대해 인권단체에선 총쏘기 게임이 양심적 병역 거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적절하지 않은 근거라고 지적하고 있다.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은 “사이버상의 슈팅 게임과 실제 사격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또 검찰이 양심적 병역 거부 여부를 판단한다며 거부자들의 사생활까지 들여다보려 한다. 검찰이 양심적 병역 거부자를 여전히 병역 기피자로 여기고 있다. 제주지검 담당 검사를 인권위에 제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전국 법원에서 재판 중인 병역 거부자는 930여명에 이른다. 제주에서는 병역법 위반 혐의로 모두 12명(1심 4명, 항소심 8명)이 재판 중이다.
[한겨레를 보는 정말 쉬운 방법]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클릭◀]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