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한반도 젖줄, 한강에 담긴 문화 이야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강 수로 문화 조사보고서 발간

물류 이동 중심이자 삶의 터전 한강 모습 담아

금강 낙동강 조사보고서로 이어져

이데일리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한강의 수로 문화에 주목한 조사보고서가 나왔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강 수로와 어로문화’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우리나라 주요 수로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기록한 수로문화 보고서의 첫 번째다.

한강은 전통적으로 이 물길을 차지한 나라가 한반도 주도권을 행사할 정도로 역사적으로나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조운선, 돛배, 뗏목 등 하루에도 수십 척이 오간 한강은 20세기 초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점차 쇠퇴했으나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19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물류 이동의 중심이었다.

우리의 옛 물길은 그 물길을 터전으로 생활했던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그 물길이 닿는 곳을 이어주듯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다양한 형태로 전해진다. 한강의 수로문화에서는 댐과 교량이 설치되기 전 한강의 나루와 포구를 기록하고, 물길을 이용한 배를 운송용과 어로용으로 정리했다.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간 뗏목과 달리, 바람을 타고, 돛대, 상앗대, 노, 밧줄 등 상류와 하류를 자유롭게 오간 돛배의 운행방법을 다룬 점이 이색적이다.

어로문화로 서술했다. 한강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한민족의 자양분이 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에서 한강을 연구하였고 그 성과는 지금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의 특징은 이전까지 연구했던 한강에 대한 관점과는 달리 어로문화를 담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한강 어부들은 ‘내수면어업’으로 배를 타고 그물을 쳐서 민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이어오고 있다. 보고서는 조선후기 서유구가 집필한 ‘난호어목지’와 ‘전어지’등 각종 문헌을 토대로 전통 어로문화를 정리하고, 현지 조사를 통해 현대 어로문화를 내수면어업으로 담았다.

오늘날 한강 어부들은 각망, 자망, 형망 등 다양한 그물로 뱀장어, 쏘가리, 동자개, 메기, 다슬기 등을 잡아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현지 조사를 토대로 어부들이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부터 활용에 이르기까지 온전히 담고 있다.

이번 조사보고서에는 한강에서 나오는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다뤘다. 팔당 조선소에서 주문에 맞게 배를 만들어 팔았던 배목수, 영월에서 뗏목을 타고 서울까지 내려왔던 떼꾼, 옛 어구를 사용해 그물을 쳤던 어부를 통해 예전에 한강에 기대어 살던 사람들 이야기 또한 담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견지낚시를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낚시꾼, 내수면어업을 통해 지금도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강 어부의 이야기는 지금도 한강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볼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강에 이어 2019년에는 금강의 수로문화와 더불어 강경 젓갈을 통한 식문화를 조사한 보고서를 낸다. 2020년과 2021년에는 낙동강과 영산강의 수로문화와 더불어 강변의례 및 장시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