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학 의대 신경유전자 연구소장 베리슬라프 즐로코비치 박사 연구팀은 "그동안 치매는 주범으로 알려진 뇌 신경세포의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응집과 타우 단백질 엉킴과 관계없이 혈뇌장벽 누출이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 161명을 대상으로 5년에 걸쳐 각종 테스트를 통해 인지기능을 평가했다. 뇌 영상 검사와 뇌척수액 분석을 통해 혈뇌장벽의 투과성을 측정한 결과 인지기능 저하와 혈뇌장벽 누출 사이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로 들어가는 말초 혈관을 살펴보니 기억력이 많이 떨어질수록 혈뇌장벽 누출이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등 두 가지 뇌 단백질 이상과는 무관했다. 이 두 가지 비정상 뇌 단백질이 있든 없든 인지기능 저하의 정도는 혈뇌장벽 누출의 정도와 일치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뇌 신경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응집해 플라크를 형성하고 뇌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이 잘못 접혀 서로 엉키고 신경세포를 죽이면서 치매가 발생한다고 봤다. 이에 따라 이 두 가지 비정상 뇌 단백질을 표적으로 치매 치료법을 연구해왔지만 임상시험에서 모두 실패했다.
즐로코비치 박사는 "혈뇌장벽 누출은 완전히 별개의 독립적인 과정이거나 치매의 아주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 두 가지 비정상 뇌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기에 혈뇌장벽 누출 같은 혈관 생물 표지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면서 "치매의 성공적인 치료는 결국 여러 가지 표적을 겨냥하는 약물을 혼합 투여하는 데 있을 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최신호에 이날 실렸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