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베냐민의 눈으로 본 도시라는 ‘환등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벤야민과 21세기 도시 문화
이창남·길로크 편저, 조형준 옮김/새물결·2만8000원

만약 발터 베냐민이 나치를 피해 도주하던 중 스페인에서 자살하지 않았다면? 그가 살아서 뉴욕에 도착해 이후 미완의 작업을 이어갔다면 어떻게 됐을까?

러셀 킬번 캐나다 윌프리드로리에대학 교수(영어·영화학과)는 이런 가상의 역사를 상상해본다. 베냐민은 자살한 것처럼 꾸민 다음 위조된 신분증명서로 뉴욕으로 온다. 그는 미국에 사는 테오도르 아도르노, 에른스트 블로흐, 막스 호르크하이머 등 수많은 국외 추방된 친구들과 어떤 접촉도 하지 않는다. 대신 카프카의 소설 <아메리카> 주인공의 이름을 따 ‘칼 로즈먼’이란 가명으로 신문사 우편실에서 일하며 살아간다. 마치 유령처럼.

65살에 은퇴한 뒤에 그의 삶은 미완성작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속편인 ‘맨해튼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데 바쳐진다. 30년 뒤 (두번째로) 사망한 그의 원고는, 그가 베냐민임을 아는 유일한 지인에 의해 공립도서관에 유증된다. 세월이 지난 뒤 도서관에서 우연히 그 원고를 읽은 누군가가 진짜 저자를 알아챈다….

베냐민이 ‘맨해튼 프로젝트’를 썼다면 어떤 내용일까. 그는 뉴욕이란 도시의 대필작가로 도시가 스스로 쓸 수 없는 자서전을 대신 썼을 것이다. 카를 마르크스와 달리 그의 주된 관심사는 도시를 변혁하기보단 훌륭한 늙은 철학자처럼 도시를 해석하는 것이다. 베냐민에게 ‘뉴욕의 세기’는 증기선 제너럴 슬로컴 호가 브롱크스 해변에서 침몰해 수많은 여성과 아이들이 죽은 비극이 일어난 날에 시작될 뿐이다. 본질적으로 현대적인 이 트라우마는, 증기엔진이란 진보의 기계가 대량파괴의 기계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세기를 예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적으로 단어로만 이루어진 사진앨범에 쉽게 비유될 수 있을 벤야민의 ‘맨해튼 프로젝트’는 본인의 삶과 비슷하게 성냥불꽃처럼 사라져가는 도시의 지나가는 삶을 구원하기 위한 그와 비슷한 시도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벤야민과 21세기 도시 문화>는 ‘고스트 타운: 도시 경관, 기억 그리고 비판이론’이라는 제목으로 2013년에 발간된 저널 ‘소사이어티즈’ 특집호를 번역한 책이다. 이 책은 ‘고스트 타운’이라는 주제 하에 베냐민의 도시 연구의 방법론적 현재성과 응용 가능성을 세계의 여러 도시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기획이다. 베냐민 연구자 3세대로 분류되는 소장 연구자들이 문학 작품, 그림, 영화, 카메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도시에서 출몰하는 유령들의 자취를 더듬는다. “우리는 파리, 런던, 샐퍼드, 디트로이트, 시드니, 뉴욕 등 세계의 여러 주요 도시 속의 유령화된 공간의 기억과 흔적의 의미를 검토하고, 도시와 영화의 상호성에 따른 인식론적이고 기억이론적인 횡단의 양상을 추적하고자 한다.”

마르크스에겐 공산주의가 유령이지만, 베냐민에겐 자본주의가 유령이었다.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라는 유령이 자본주의를 타도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베냐민은 자본주의라는 유령은 우리 삶 속에서 무수한 흔적과 그림자, 꿈과 무의식을 양산하며 생명을 미래로 끊임없이 연장하리라고 생각했다. 이들 연구자들은 실증사학 대 진보사학이란 좁은 시야에 대해 ‘유령으로서 자본주의 운동’이라는 베냐민의 진단은 역사(학)을 혁신할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해줄 것이라 말한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