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대∼근대 외교사 4권으로 정리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동북아역사재단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한국 대외관계와 외교사를 통사적으로 정리한 학술서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를 펴냈다고 28일 밝혔다.

재단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 환경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기 위해 2015년 '한국외교사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3년 넘는 작업 끝에 결실을 봤다.

편찬위원장은 구대열 이화여대 명예교수, 간사는 홍면기 전 동북아재단 연구위원이 맡았다.

한국사·일본사·중국사·국제정치학 전공자 50여 명이 집필에 참여했고, 외교 전개 과정에서 우리 시각과 주체적 면모를 강조하려 한 점이 특징이다.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는 고대·고려·조선·근대 4권으로 구성되며, 고대편을 제외한 3권이 먼저 출간됐다. 고대편은 3월 발간 예정이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가 주요 필자로 나선 고려편은 고려 외교 전통, 국익 실현을 위해 노력한 국왕과 외교 담당자 노력을 재조명하는 한편 교류사를 폭넓게 다뤘다.

조선편은 중국은 섬기고 다른 나라와는 대등한 위치에서 사귄다는 사대교린(事大交隣)을 이상으로 내세웠지만, 이웃 나라의 침략으로 여러 차례 전쟁을 겪은 상황을 설명했다. 한명기 명지대 교수를 중심으로 학자들이 조선 외교를 다층적으로 분석했다.

김종학 동북아재단 연구위원이 편찬 작업을 이끈 근대편은 개항부터 분단까지 역동적 근대 외교사를 담았다. 좌절과 실패가 아니라 생존과 독립이라는 프레임으로 한국 외교의 노력과 한계를 촘촘하게 들여다봤다.

홍면기 간사는 "지금까지 한국 외교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교재가 없다는 부끄러운 사실에서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며 "책 출간은 한국사를 권력 정치의 객체로 재단해 온 주변국의 왜곡된 시각을 교정함은 물론, 우리의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역사적 지향을 탐색하는 학문적 입론점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그는 "일반 국민들의 마음속에 각인된 '지정학적 조건론'이나 '강대국 결정론'을 불식하고, 한국사의 주체성과 발전 경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진작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구대열 위원장은 발간 의의에 대해 "한국외교사는 한국사의 지엽적 부분이 될 수 없으며, 한국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고려편 425쪽, 2만4천원. 조선편 573쪽, 2만6천원. 근대편 803쪽, 3만2천원.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