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ㆍ이란 연계 부대는 실제 교전도… “70명 이상 사망”
지난해 4월 터키와의 접경 지역인 시리아 북부 만비즈 지역의 미군 캠프에서 한 군인이 장갑차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0일 시리아 주둔 미군 2,000명을 빠른 시일 내에 철수시키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만비즈=AP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1년 3월 시작된 시리아 내전이 러시아와 이란을 등에 업은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측의 승리로 끝나가는 가운데, 이제는 ‘같은 편’에 속했던 관련국들 사이에 갈등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시리아 반군 측을 지원해 온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이 ‘완충 지대’ 설립을 두고 묘한 신경전을 벌이는가 하면, 친(親)정부군 진영 내에선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각각 받는 군 부대끼리 정면 충돌해 70여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군 대 반군’이라는 단순 대립을 넘어, 주변 열강들과 다양한 반군 세력들이 합종연횡을 이루며 서로 얽히고 설킨 형태로 전개된 시리아 내전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그 복잡성이 더해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터키와 국경을 접한 시리아 북부에 새로운 ‘완충 지대’를 세워 이를 맡아달라고 영국과 프랑스, 호주 등 동맹들에 요청했다고 정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해 12월 트럼프 대통령이 공표한 ‘시리아 주둔 미군 2,000명의 4~6개월 내 철수’가 현실화할 경우 우려되는 ‘힘의 공백’ 부작용을 막기 위해 해당 지역을 ‘서방 연합군의 통제 구역’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미국이 이런 제안을 한 건 시리아 북부를 근거지로 삼는 시리아 쿠르드민병대(인민수비대ㆍYPG)와 터키의 대립 때문이다. 반군 중 하나인 YPG는 미국의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에서 큰 역할을 수행했고, 터키는 IS가 패퇴한 뒤 반(反)아사드 반군 조직 연합체인 자유시리아군(FSA)을 파트너로 삼아 ‘YPG 소탕’에 나섰다. 미국으로선 터키가 ‘시리아 반군 지원’에선 한배를 탔다 해도, 이 지역이 완전히 터키 측의 수중에 넘어가면 결국 자국의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여전히 YPG와 손을 잡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리아 내전에 개입한 서방 동맹국 가운데 미국의 요청에 ‘동의’를 표한 국가는 아직까지 단 한 곳도 없는 상태다. 유럽의 한 외교관은 WSJ에 “협상이 진행 중이나, 결정된 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시리아 미군 철수’ 발표를 두고 “동맹들과 협의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는 비판이 나온 점을 감안할 때 영국 등이 흔쾌히 응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WSJ는 “동맹국들을 ‘완충 지대’ 계획에 끌어들이는 건 미국 관리들이 직면한 도전이자 난제”라고 평가했다. 터키 역시 미국의 제안에 반대하면서 해당 지역을 자신들이 통제하는 ‘완충 지대’로 구축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균열’ 조짐이 생긴 건 반대편 진영도 마찬가지다. 터키 관영 아나돌루통신에 따르면, 전날 시리아 서부 하마주(州)의 라시프 지역에서 러시아 연계 민병대 ‘타이거군(軍)’과 이란 연계 ‘제4단’ 사이에 교전이 벌어졌고 그 결과 70명 이상이 사망했다. 시리아 내전 국면에서 ‘아군’이었던 부대끼리 대규모 무력 충돌을 빚은 셈이다. 친터키 반군인 FSA 대변인은 “러시아와 이란 양쪽 다 이 지역을 통제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친정부 성향 매체인 알마스다르뉴스는 타이거부대 소식통을 인용해 “두 부대의 충돌 보도는 터키 정권의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이런 가운데, 미 상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시리아 주둔 미군 철수’에 적극적인 반대 행동을 하고 나섰다. 상원은 지난달 31일 ‘중동 안보정책법 수정안’의 표결을 위한 절차 투표를 실시해 68(찬성) 대 23(반대)으로 가결시켰다. 시리아 및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수에 반대하는 내용으로, 이 수정안의 최종 의결은 다음주 이뤄질 전망이다. 다만 시리아 철군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 명령에 따른 것이어서, 수정안이 상원에서 의결된다 해도 실질적인 효력은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