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전쟁…"기억은 산 자와 죽은 자의 대화다"
노예제·홀로코스트·광주항쟁 등 분석한 글 모아
기억전쟁© 뉴스1 |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2차세계대전 이후 B·C급 전범 판정을 받은 조선인은 가해자일까 아니면 일본 제국주의 치하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한 피해자일까.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는 2006년 11월에 이들을 일본의 전쟁 책임 전가행위에 따른 피해자라고 인정한 바 있다.
그러나, 저자는 신간 '기억전쟁'에서 이런 결정에 근원적 질문을 제기한다.
신간 '기억전쟁'은 역사학자인 임지현 서강대 교수가 노예제·홀로코스트·광주항쟁 등을 피해자와 가해자의 기억이라는 틀에서 분석한 내용이다.
임 교수는 역사가가 아닌 기억활동가라고 자칭하며 타인의 고통을 껴안는 기억 연구에 매진했다.
기억은 역사와 어떻게 다를까. 저자는 역사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면 기억은 죽은 자와 산 자의 대화라고 설명했다.
역사학 방법론 중 하나인 기억 연구는 학술적으로 설명하면 문서와 기록이 중심이 된 공식기억보다 개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적인 부분에 집중한다.
이에 기억연구는 홀로코스트, 난징대학살, 광주항쟁 등을 다루는 과정에서 나치주의자, 일본의 극렬 보수주의자, 남한의 태극기부대에게서 실증이 아니라는 논리로 반박되기도 한다.
기억 연구는 다시 말하자면 가해자들이 숨기고 싶은 치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희생자의 규모를 은근히 과시하는 민족주의자와 나치의 공범자가 피해자로 둔갑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책은 과거의 비극을 어떻게 기억하고 책임질 것인가에 대해 근본적이면서 민감한 질문을 던지면서 공론의 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2차세계대전에 참전한 조선인 B·C급 전범 83명이 과연 일제강점기의 피해자인지를 묻는다.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는 2006년 11월에 이들을 일본의 전쟁 책임 전가행위에 따른 피해자라고 인정했다.
저자는 단지 조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들을 일본 제국주의의 희생자로 기억하려는 한국 사회의 인식이 방어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개별 가해자가 민족의 이름으로 희생자로 둔갑하는 것은 반인도적 범죄행위에 대한 면죄부이며 위험한 속임수라는 것이다.
▲ 기억전쟁 - 가해자는 어떻게 희생자가 되었는가 / 임지현 지음 / 휴머니스트 / 1만8000원.
art@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